1.8 C
Ganghwa-gun

최순례작가의 새

종다리

2021. 12. 30 강화도의 군조였던 종다리 개체수가 점점 늘어나는듯 겨울이 시작되면 들녁에서 무리를 지으며 날으는 모습의 종다리를 흔하게 볼수있다.

어치

2021. 12. 25 까마귀과인 어치는 흔한 텃새이며 다른 조류또는 동물의 소리를 흉내 내기도 하고 먹이는 들쥐, 개구리, 새알 과 새끼등 동물성먹이와 나무열매, 과일등 즐겨먹는 잡식성이다

까치밥?

까치밥 치고는 넘 많은 감 저리 많이 매달린 감을 따기 힘들어서 내버려둔걸까? 덕분에 새들은 당분간 멋있는 감 먹을수있어 좋겠다.

곤줄박이

2021. 12. 20 나뭇가지에 앉아 딱딱한 씨앗을 부리로 망치질하듯 두들겨 까먹으며, 등산객등이 땅콩들을 손에 들고 먹이를 주면 손바닥위에도 내려앉아 먹이를 먹기도 한다. 텃새이다.

큰부리큰기러기

낙동강, 금강 하구등지에서 비교적 흔하게 월동하지만 큰기러기보다 개체수가 적다. 큰기러기보다 몸이 크고 부리도 더 길고, 이마와 부리의 경사가 완만하게 보인다. 수생식물이 무성한 습지를 좋아하며, 뿌리와 줄기, 씨앗등을 먹으며, 강화에서는 큰부리큰기러기가 동락천주변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줄기러기

2015년 월곳리에서 줄기러기 한마리가 관찰되었다. 그 당시 개리를 처음 보았기에 개리에 흠뻑 빠져 그 바로옆에 있던 줄기러기를 보지 못했었다. 국내에서는 2003년 3월 15일 한강 하구 공릉천 초입에서 1개체, 2013년 12월 10일 강화에서 1개체, 2015년 5월 26일 경남 하동에서 1개체가 관찰된 미조였다는데.. 그런 미조를 몰랐다니 지금도 생각하면...

다리다친 재두루미

또 다른장소에서 관찰된 재두루미 그런데 먹이를 먹으며 움직이려면 한쪽 다리를 절룩거린다. 날거나 하는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거 같지만 한발 한발 움직이는 모습이 넘 힘들어한다. 어쩌다 저리 된것일까? 마음만 안타까울뿐 어찌해줄 방법이 없다.

귀한손님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제 203호 그동안 김포에선 해매다 관찰되던 재두루미가 그동안 한번도 강화도 들녁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었다. 그러던 재두루미가 2021. 11. 15일 강화도의 들녁에서 관찰되었다. 그동안 강화도 상공을 날아  남녁으로 내려가는 재두루미는 볼수있었지만 들녁에 내려앉아 먹이 활동하는 재두루미는 처음 관찰된게 아닌가 싶다.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작은주홍부전나비

제비

제비무리중 한마리가 부분 루시즘에 걸린것으로 보인다. 루시즘은 동물의 눈을 제외한 피부나 털, 깃털, 비늘,  큐티클층이 부분적인 색소 소실로 인해 희거나 밝게, 혹은 얼룩덜룩하게 보이는...

선원면 새마을부녀회, 행복 나눔 행사 펼쳐

강화군 선원면 새마을부녀회(회장 유갑희)는 지난 27일, 행복나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취약계층의 식생활 지원과 건강한 먹거리 나눔을 위해 마련됐으며, 회원들은 정성껏 준비한 달걀 100판을...

역사와 빛이 어우러진 ‘강화별밤야행(夜行)’ 오는 9월 5~6일 개최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오는 9월 5일(금)부터 6일(토)까지 이틀간 강화읍 용흥궁공원과 원도심 일원에서 ‘2025 강화별밤야행(夜行)’을 개최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한 이번 축제는 강화의 역사문화 자원을 무대로, ‘6夜(야설·야사·야로·야경·야식·야시)’의 테마...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 완화로 소상공인 지원책 강화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상권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을 완화하고, 희망 상인회를 대상으로 오는 9월 10일까지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