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C
Ganghwa-gun

최순례작가의 새

새호리기

휴식중

후투티

2024. 8. 08 해마다 조금씩 개체수가 줄어준다 했는데 금년엔 특히나 새가 안 보인다 몇해전까지만해도 후투티가 해마다 둥지를 틀던곳도 둥지는 커녕 새도 보이지않고 그렇게 후투티를 못보나보다 했는데,  오늘도 오후에 한바퀴 돌면서 새 를 보지도 못하고 들어와 주차하다보니 서문 잔디밭에 후투티 한마리가 먹이를 찾다가 사람들이 지나가면 날아갔다가 다시 날아와 잔디속에서 긴...

소쩍 소쩍 소쩍새

지난해 번식했던 장소에서 올해도 소쩍새가 둥지를 틀고 2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듯하다. 작은 둥지속에서 바깥세상이 궁금한듯 살그머니 고개를 내밀고 온몸을 흔들며 춤을춘다

쇠물닭 가족

지난해 쇠물닭이 번식했던 장소 금년엔 여러번 둘러봐도 찾을수없었는데 오늘 지나는길 물가에아주 작은 검은물체가 움직인다. 그러더니 쇠물닭부부와 어제나 오늘 알에서 깨어난듯한 쇠물닭유조 7마리가 보인다..작고 검은녀석들이 얼마나 앙증맞고 이쁘던지 욕심도 많지 어떻게 7마리나 번식에 성공했을까? 부디 무사히 잘 살아가주길..  

대륙검은지빠귀

2024. 6. 05 강화에서 첫 관찰된 대륙검은지빠귀다. 일이 있어 올라갔던 견자산에서 뭔가 검은녀석이 순식간에 사라진다. 그렇게 몇번을 다시 둘러보는데 나뭇가지위에 앉아 있는걸 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7월 14일 강원 고성에서 번식이 확인된 이후 관찰기록이 증가하고 있다고하며 적은 수가 통과하는 나그네새라고 한다. 이제는 서울등 우리나라에서도 여러곳에서 번식을 한다하고 이번에 만난 대륙검은지빠귀도 한쌍인것을 보면...

붉은왜가리가 왔다.

전체적으로 회색인 왜가리는 논, 여기저기서  흔하게 보이지만 붉은왜가리는 드물게 찾아오는 나그네새로  붉은왜가리가  강화 교동에서 2년전 첫 관찰이후 두번째로 이번에 다시  강화도에서 관찰이 되었다. 붉은왜가리가 나타났다는 지인의 연락에 달려가 만나고 왔다. 몸은 전체적으로 푸른 기운이 있는 회흑색이며, 부리와 목이 상대적으로 길고, 목 부분과 경부에 갈색 깃이 섞여 있으며, 머리, 뒷목,...

천연기념물 뜸부기

2024. 6. 12일 천연기념물 뜸부기가 돌아왔다. 여름철새인 뜸부기는 주로 논에 서식하며 둥지는 벼포기를 모아 만들거나 습지주변 풀밭에 풀줄기를 이용해 접시모양으로 만들며 경계심이 강하고 번식기에 수컷은 뜸 뜸 뜸 특유의 울음소리를 낸다. 아직은 벼가 무성허지 않으니 비교적 쉽게 관찰이 되었다.    

새호리기

새호리기 한마리, 반갑다고  손 흔들며 인사 합니다.

아물쇠딱다구리

2024. 6. 6 아빠 아물쇠딱다구리 한마리. 맑고 파란 하늘이 아름다운 날 마른 나무위로 날아와 한참을 우두커니 있더니 깃털을 다듬는다. 한자리에서 꼼짝도 안하고 돌아갈줄도 모르고 저러구있다.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작은주홍부전나비

제비

제비무리중 한마리가 부분 루시즘에 걸린것으로 보인다. 루시즘은 동물의 눈을 제외한 피부나 털, 깃털, 비늘,  큐티클층이 부분적인 색소 소실로 인해 희거나 밝게, 혹은 얼룩덜룩하게 보이는...

선원면 새마을부녀회, 행복 나눔 행사 펼쳐

강화군 선원면 새마을부녀회(회장 유갑희)는 지난 27일, 행복나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취약계층의 식생활 지원과 건강한 먹거리 나눔을 위해 마련됐으며, 회원들은 정성껏 준비한 달걀 100판을...

역사와 빛이 어우러진 ‘강화별밤야행(夜行)’ 오는 9월 5~6일 개최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오는 9월 5일(금)부터 6일(토)까지 이틀간 강화읍 용흥궁공원과 원도심 일원에서 ‘2025 강화별밤야행(夜行)’을 개최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한 이번 축제는 강화의 역사문화 자원을 무대로, ‘6夜(야설·야사·야로·야경·야식·야시)’의 테마...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 완화로 소상공인 지원책 강화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상권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을 완화하고, 희망 상인회를 대상으로 오는 9월 10일까지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