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4. 천연기념물 솔부엉이 지난해 해마다 오던 장소에서 솔부엉이를 볼수없어 많이 아쉬웠는데 금년에도 몇번을 가도 찾을수없었는데 뜻밖의 장소에서 솔부엉이가 보인다. 나뭇잎으로 가려 좀처럼 찾을수없는곳에 기가 막히게 숨어있어 제대로 온전한 모습은 보기 어려울거 같다. 늘 같은장소에 앉아있으니 더욱.. 분명 근처에 둥지가 있을덴데 무사히 잘 번식에 성공하길 바라는 마음이지만 그래도 한편으로...
12024. 5. 31 2000년 4월 강화도 미루지에서 수컷 1개체가 처음 관찰된 이후 개체수가 증가하고있고 이제는 여기저기서 번식도 하고 있다. 강화도에서도 번식을 하지않을까 했는데 오늘 먹이를 물고 육추중인듯한 여러 개체가 빨갛게 익은 오디를 부지런히 물어 나르고 있었다.
2024. 5. 강화군조이며 천연기념물인 저어새 금년에도 많은개체가 돌아왔다. 우리나라 서해안 무인도, 강화의 각시암 인천과 영종도주변 작은섬에서 번식하며 물고인 갯벌하구, 논 등 습지에서 주걱같이 넓적하고 긴 부리를 휘저으며 붕어. 미꾸라지등 먹이를 잡아 먹으며 강화도에는 3월중순 찾아와 10월 중순. 적은개체지만 제주도에서도 월동을 하며 대만, 베트남, 홍콩, 일본 등지에서...
왜가리 한마리 먹이를 잡아 먹나보다 했다. 그래서 열심히 셔터 누르다 확인하니 웬걸 부리에 먹이가 있는게 아니라 뭔가 이상해 자세히 살펴보니 부리가 위로 아래로 벌어져있고 부리 아래로 혓바닥도 보인다. 어쩌다 저리된걸까? 저 상태로는 물고기 사냥도 어려울듯한데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