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 C
Ganghwa-gun
자연/생태 페이지 15

자연/생태

엉겅퀴

조류 사진을 찍으면서 풍경이나 야생화는 봐도 사진을 안 찍게 된다. 새도 그렇지만 특히나 꽃은 그 시기가 지나면 볼수없는데 언제나 새에 밀려 뒷전이되어 버린다 이제는 야생화도 찍어보자 마음은 먹지만 작심삼일이다.

솔부엉이

2022. 5. 19 늘 오던장소 금년에는 안오는건가 했는데 역시 찾아와 주었다. 귀한손님 솔부엉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솔부엉이가 금년에도 번식을 하는거 같다. 맹금류지만 부엉이들은 눈이 이쁘다. 노란색 눈동자가 순진해보여서 개인적으로 넘 좋다. 암컷은 포란에 들어간듯 수컷이 주변 나뭇가지에 앉아 지키고있다. 몇해전 세마리 아기부엉이가 제법 자라다 어느날 흔적이 없이 사라져 안타까웠던 기억이있는데 무사히...

개개비

2022. 5. 24 길상면 수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갈대가 있는곳에선 시끄럽게 울어대는 개개비 소리를 들을수있다. 그러나 좀처럼 모습을 들어내지 않다가   어느순간 갈대줄기위로 쑤욱 올라왔다가 인기척이 있으면 다시 갈대속으로 숨어버린다. 길상면 등 갈대가 있는 수로에서 흔히 관찰된다.

귀제비

밀화부리

2022. 5. 17일 청련사 매년 청련사 근처에서 밀화부리가 보인다. 번식을 하는듯 어던대는 새끼들도 보이고. 금년에도 역시나 미롸부리가 여러마리 보인다 먹이를 물고 다니는데 이미 포란을 시작한건 아닐까 싶다. 주변엔 파랑새도 구애활동을 하고 딱새와 박새 그리고 쇠박새도 먹이를 물고 다닌다. 모두 번식중인듯  

할미꽃

 

흰털괭이눈

종달도요

2022. 4. 26 지산리 지산리 논에서 종달도요가 10여마리 보인다.  알락도요도 먹이 먹느라 분주하고 꼬마물떼새 몇마리도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않고  가까이 와 준다. 종달도요가 있는 아랫논에선 청다리와 학요요들도 먹이찾느라 분주하게 움직인다. 4월~5월 중순 8월초부터 9월 초순까지 관찰되며 물 고인 습지와 논에서 곤충의 유충, 조개류, 갑각류를 먹는다. 부리는 가늘고 짧으며 아랫부리...

발가락이 잘린 꼬마물떼새

2022. 4. 26 발가락이 잘라진 꼬마물떼새 다리를 절룩이며 먹이를 찾아 다닌다. 어쩌다 발이 잘려 나갔을까?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

요 며칠 긴발톱할미새 4종을 관찰하는 행운을 누렸다. 긴발톱과할미새, 북방긴발톱할미새,  흰눈썹긴발톱할미새와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 그렇게 4종을 만났으며 그중 북방긴발톱할미새와 흰눈썹북방할미새는 이번에 처음으로 조우하였다 긴발톱할미새는 노랑눈썹선이 있고 고 북방긴발톱할미새는 머리는 청회색이며 눈썹선이 없다., 그리고 흰눈썹긴발톱할미새는 눈썬선이 흰색이며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는 드물게 통과하는 새로 흰눈썹선이 짧고 가늘고 특히 눈앞이 짧으며 눈위는 거의 보이지않고 눈뒤로 약간길다 자료출처: 야생조류...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노랑할미새

2025. 4. 30 노랑할미새 부부가 둥지를 준비하는듯한다.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