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C
Ganghwa-gun
자연/생태 페이지 17

자연/생태

두루미

  천연기념물인 두루미 해마다 40여마리가 넘게 강화도의 갯벌을 찾아오는 두루미 강화도를 찾는 두루미는 들녁에서 낱알을 먹기도 하지만 유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갯벌에서 칠게등을 잡아먹는다. 해마다 개체수가 조금식 늘어나고있다.

붉은머리오목눈이

2022. 1. 2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가는 가랑이 찟어진다는 속담속의 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칡부엉이

종다리

2021. 12. 30 강화도의 군조였던 종다리 개체수가 점점 늘어나는듯 겨울이 시작되면 들녁에서 무리를 지으며 날으는 모습의 종다리를 흔하게 볼수있다.

어치

2021. 12. 25 까마귀과인 어치는 흔한 텃새이며 다른 조류또는 동물의 소리를 흉내 내기도 하고 먹이는 들쥐, 개구리, 새알 과 새끼등 동물성먹이와 나무열매, 과일등 즐겨먹는 잡식성이다

까치밥?

까치밥 치고는 넘 많은 감 저리 많이 매달린 감을 따기 힘들어서 내버려둔걸까? 덕분에 새들은 당분간 멋있는 감 먹을수있어 좋겠다.

곤줄박이

2021. 12. 20 나뭇가지에 앉아 딱딱한 씨앗을 부리로 망치질하듯 두들겨 까먹으며, 등산객등이 땅콩들을 손에 들고 먹이를 주면 손바닥위에도 내려앉아 먹이를 먹기도 한다. 텃새이다.

큰부리큰기러기

낙동강, 금강 하구등지에서 비교적 흔하게 월동하지만 큰기러기보다 개체수가 적다. 큰기러기보다 몸이 크고 부리도 더 길고, 이마와 부리의 경사가 완만하게 보인다. 수생식물이 무성한 습지를 좋아하며, 뿌리와 줄기, 씨앗등을 먹으며, 강화에서는 큰부리큰기러기가 동락천주변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줄기러기

2015년 월곳리에서 줄기러기 한마리가 관찰되었다. 그 당시 개리를 처음 보았기에 개리에 흠뻑 빠져 그 바로옆에 있던 줄기러기를 보지 못했었다. 국내에서는 2003년 3월 15일 한강 하구 공릉천 초입에서 1개체, 2013년 12월 10일 강화에서 1개체, 2015년 5월 26일 경남 하동에서 1개체가 관찰된 미조였다는데.. 그런 미조를 몰랐다니 지금도 생각하면...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노랑할미새

2025. 4. 30 노랑할미새 부부가 둥지를 준비하는듯한다.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