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 C
Ganghwa-gun
자연/생태 페이지 23

자연/생태

큰줄흰나비

나비목 흰나비과  여름과 가을에 나타나며 배추,  무, 순무,  양배추, 고추냉이,  등 채소에 해를 입힌다.

흰날개해오라기

2021. 5. 14 일주일 들에 나가지 못했는데 오늘 나가보니 세상에 벌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있었다.  벌써 많은 논이 모내기를 했고 아직 모내지 않은논은 모낼 준비로 논써래질도 끝나가고 써래질로 일구어진 논에 백로와 흰날개해오라기가 미꾸라지를 잡아 먹는다. 먹이를 찾느라 흰날개해오라기가 사람이 근처에 있어도 전혀 신경조차 쓰지않는다.

붓꽃

칡때까치

2021. 5. 12일 여름철새로 개활지보다는 관목이 있는 숲이나 개발된 숲속에서 생활한다 머리는 청회색 몸윗면은 비늘무늬가 있는 적갈색으며 위꼬리덮깃에는 검은 줄무늬가 있다. 수컷은 폭넓은 검은 눈선이 있으며 부리가 욱중하다. 나뭇가지에 앉아있다가 쏜살같이 날아 먹이사냥을 한다.

파랑새

2021. 5. 12 며칠전부터 파랑새가 보인다. 게절은 어찌 그리 잘들 아는걸까? 여름철새들이 모두 돌아왔다. 흰눈썹황금새, 파랑새, 큰유리새, 검은등뻐꾸기, 소쩍새, 벙어리뻐꾸기, 솔부엉이등,

종달도요

갈구리나비

나비목 흰나비과 앞날개 끝이 갈구리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날개 바탕색은 흰색이며 끝부위에 노랑색 무늬가 있다

장다리물떼새

2021. 04. 28 나그네새이자 여름철새인 장다리물떼새 긴 다리에 빨간 스타킹을 신고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물고인 논, 하천등 수심이 낮은 습지에서 생활하며 갑각류, 곤충의 유충등을 잡아 먹으며 작은 무리를 이룬다.

저어새

천연기념물 제 205-1호인 저어새   v41 가락지를 단 저어새도 보인다 가락지 부착은 새들의 이동경로, 번식지, 월동지, 체류기간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며 홍콩, 일본, 대만, 우리나라등에서 가락지 부착작업을 하고 있다.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노랑할미새

2025. 4. 30 노랑할미새 부부가 둥지를 준비하는듯한다.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