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C
Ganghwa-gun

최순례작가의 새

쇠물닭

전국의 습지 저수지 수로등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며 부들이나 갈대숲 사이로 다니며 씨앗 곤충등을 먹으며 갈대와 부들줄기사이에 둥지를 틀고 번식한다.

논병아리

가마우지

민물가마우지는 내륙 호수 강 등에서 볼수있지만 가마우지는 백령도 제주도등 서, 남해안의 작은무인도, 절벽등에 번식하며 서식하는 녀석으로 지난해 여름 아이들과 제주도 가서 보았는데 바다도 아닌 수로에서 뜻하지 않게 정말  우연히 가마우지를 만났다. 그것도 아주 가까운거리에서 경계도 안하고 얌전히 모델이 되어준다. 고맙게..

노랑부리저어새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겨울철새 노랑부리저어새가 돌아왔다. 계절이 바귀는건 어찌알고 이리 찾아들 오는지.. 물수리도 보이고 검은딱새도 보이고 이렇게 가을이 깊어간다

비둘기조롱이

2022. 10. 4 벼베기가 시작됐는데도 비둘기조롱이가 보이지않아  몇번을 찾아 다녔지만 보이지않더니 오늘  해마다 찾아오는 장소 양도면에서 두마리의 비둘기조롱이를 만났다. 봄 가을  통과하는 여름철새로 강화에서는 가을철 벼가 누렇게 익어가는 가을 주로 관찰되며 전깃줄이나 전봇대에 앉아있다가 논위로 낮고 빠르게 비행하며 곤충류를 잡아 먹는다.  

때까치

국내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지만 일부가 봄, 가을 이동하는 나그네새이기도 하다

꺅도요

봄 가을 통과하는 겨울철새이며 습지, 논, 개울가에서 먹이를 먹는다. 긴부리로 땅속의 먹이를 잡아 먹으며 습지에서 먹이를 찾다가 사람이 접근하면 꼼짝않고 있기도하고 "꺅" 하며 날아간다

방울새

지난해 해바라기를 심었더니 씨앗이 영글고 어느날보니 방울새가 먹이를 먹으러 왔었다 금년에는 지난해 씨앗이 떨어져 다시 나고 꽃을 피우더니 또 어린 방울새들이 찾아와 씨앗을 먹고있다. 아쉽게도 토종 해바라기가 아니고 개량종이라 꽃송이만 많았지 씨앗은 영 신통치않게 영글어 먹이가 시원치않다. 그래도 방울새 몇마리가 와서 먹이를 먹다 지나가는 사람이...

둥지속 아기제비

몇해전부터 번식하던 둥지를 옆에두고 한번은 번식에 실패하더니 이번엔 반대편에 새로 둥지를 지어 3마리의 아기제비가 태어나 자라고 있다. 곧 이소할거 같긴한데  그래도 날으는 연습 언제하고 강남으로 가려는지.. 무사히 이소해 세상밖에서도 잘 자라  잘 갔다가 내년에도 다시 만나자구나.. 해마다 찾아와 번식하는 제비들 반갑고 고맙다. 어미가 먹이를 물어다주다 잠시 둥지옆에서 휴식을 취하고 부끄럽게...

북방개개비

2022. 8. 25 양도면 국내에 다소 드물게 통과한다는 북방개개비를 우연히 보게 되었다. 개개비인줄 알았는데 집에와서 확인하니 북방개개비다. 풀과 관목이 무성한 갈대밭 개울가에 서식하며 개방된곳에 좀처럼 나오지 않는다는 녀석이 웬일로 눈앞에 떠억 나타났다.  역시나 보여줘야본다는.. 덕분에 강화도 종추를 했다.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노랑할미새

2025. 4. 30 노랑할미새 부부가 둥지를 준비하는듯한다.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