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 C
Ganghwa-gun

최순례작가의 새

파랑새

2021. 5. 12 며칠전부터 파랑새가 보인다. 게절은 어찌 그리 잘들 아는걸까? 여름철새들이 모두 돌아왔다. 흰눈썹황금새, 파랑새, 큰유리새, 검은등뻐꾸기, 소쩍새, 벙어리뻐꾸기, 솔부엉이등,

종달도요

장다리물떼새

2021. 04. 28 나그네새이자 여름철새인 장다리물떼새 긴 다리에 빨간 스타킹을 신고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물고인 논, 하천등 수심이 낮은 습지에서 생활하며 갑각류, 곤충의 유충등을 잡아 먹으며 작은 무리를 이룬다.

저어새

천연기념물 제 205-1호인 저어새   v41 가락지를 단 저어새도 보인다 가락지 부착은 새들의 이동경로, 번식지, 월동지, 체류기간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며 홍콩, 일본, 대만, 우리나라등에서 가락지 부착작업을 하고 있다.  

알락도요

도요들이 돌아왔다. 청다리도요. 알락도요, 바닷가에도 많은 도요들이 돌아 왔으리라

붉은가슴밭종다리

나그네새로 봄과 , 가을철 늦게 11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멱과 가슴에 적갈색  줄무늬가 있으며,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동시기에는 작은 무리를 이루기도 하고 밭종다리 사이에 1~2마리가 섞이기도 한다. 꼬리를 위아래로 끊임없이 움직이며 풀밭에서 곤충류 또는 풀씨를 찾는다.  

되새

2021. 4. 14 흔한 겨울철새이며,  흔히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10월 초 부터 도래해 통과하거나 월동하며, 5월 초 까지 보인다. 몇마리에서 몇십마리씩 모여 움직이여 이동시기에는  수천마리로 무리를 지어 이동하기도 한다.

학도요

지난해 3월 17일 첫 관찰된 학도요가 2021년엔 오늘 1마리 첫 관찰됨

청머리오리

2021. 4. 08. 선원면 오랜만에 청머리오리가 보인다. 그것도 어쩌다 한마리 보이던게 이게 웬일? 수컷 세마리 암컷도 세마리인거 같다 청머리오리의 매력은 빛을 받는 방향에 따라 빛나는 청색이 보이는가싶으면 적갈색으로 보이곤한다 작은 무리를 이루어 겨울을 나는  겨울철새지만 강화도에선 늦가을과 봄. 이동하는 시기에 관찰된다. 무늬가 매우 독특해 다른 종과 혼동이 없으며 북한에선 붉은꼭두머리오리라고...

꼬마물떼새

2021. 3, 31 연리 꼬마물떼새도 짝을 찾으며 여기 저기서 보이기 시작한다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노랑할미새

2025. 4. 30 노랑할미새 부부가 둥지를 준비하는듯한다.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