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면

조선시대 이후 하도면과 마주하면서 옛 진강현의 부치쪽 곧 위쪽에 자리하고 있어 상도면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위량면(位良面)과 합하고 위량면에서 양(良)자와 상도면에서 도(道)자를 따서 양도면이라 칭하였다.

길정리(吉亭里)

조선시대 이래 길상면 관할에 정자가 있는 마을을 정두동과 정하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길상면에서 길(吉)자와 정두(亭頭), 정하(亭下)동에서 정(亭)자를 취하여 길정리라 하고 개편 신설된 양도면에 편입되었다.

곤릉(坤陵) : 고려 강종의 원비 원덕태후의 능인 곤릉이 있다 하여 유래되었다.

문현(門峴) : 정하동 북쪽에 있는 마을로 고려시대 진강목장이 있었을 때 이 마을에 토성의 문이 있었다하여 문현 또는 문고개라 칭한다.

정하동(亭下洞) : 길정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옛 정두동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 정하동이라 부르고 있다.

황경천(黃慶川) : 옛날에 황씨성을 가진 부자가 재산을 보호할 목적으로 금을 냇가에 묻고 죽은 후 그 자손도 이 금을 찾지 못하였다고 하여 하천 이름을 황금천이라 불렀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황경천으로 변하였다.

도장리(道場里)

예전에 진강목장이 있었을 때 목장머리에 있는 마을이라 장두동(場頭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그아래 마을인 장하동(場下洞)을 합하고 상도면에서 도(道)자와 장두, 장하동에서 장(場)자를 따서 도장리라 칭하였다.

서낭고개 : 어두니에서 삼흥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그곳에 서낭당이 있어 붙인 이름이다.

대흥(大興) : 도장리 삼거리 일대에 있는 마을로 크게 번성한 마을이라는 뜻으로 불러온 이름인 듯 하다.

어두(魚頭) : 대흥 동북편 길정리와 경계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물고기의 머리 모양과 비슷하여 어두라 하였으며 속칭 어두니라 부른다.

장아래(場下) : 예전 진강목장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장아래라 부르며 종전의 장하동을 이른다. 일설에는 옛날에 이 마을 윗 동네에 큰 장터가 있어 그 아래 마을을 장아래라 부른다고도 한다.

진강목장터 : 옛날에 도장리 진강산 아래에 국마를 기르던 목장이 있던 터라 붙여진 이름이다.

추포정터 : 추포 황신(黃愼)의 정자가 있던 자리라 붙여진 이름이다.

학바위 : 어두니 북쪽에 있는 바위로 학처럼 생겼다 하여 학바위라 부른다.

조산리(造山里)

옛날 이 마을에 장수 세사람이 태어나 마을 가운데에다 흙을 쌓아 작은 산을 만들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어 조산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조산리라 하였다.

가오라기 : 진들 서편에 있는 마을로 앞개울에 가오라기(모시조개)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구부창 : 국정 동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나루가 있었으며 조기를 남쪽 방언에서 조구라 하는데 강화, 김포 해안 마을에서도 지명에서 조구로 남은 곳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기를 잡아오던 포구에서 유래된 듯하다.

조산 : 옛부터 죄미라 불렀는데 조산을 고어로 조뫼라 한 것으로 보아 조뫼가 죄미로 변한 듯 하다.

진틀 : 죄미 서편에 있는 마을로 예전 진강현의 군부대가 주둔하던 곳이라 진터로 부르다가 진틀로 변했다고 한다.

능내리(陵內里)

고려 원종의 비 순경태후의 능인 가릉(嘉陵)이 있어 능내리라 한다.

공숙(公塾) : 능내 서쪽 옹일 안쪽에 있으며 사설 서당이 있던 마을로 모든 사람이 원하는 대로 공부할 수 있는 고장이라 하여 공숙으로 부르고 있다.

능안 : 가능 서편 골안에 있는 마을이라 능안으로 부른다.

탑재 : 능내리에서 화도면쪽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예전에 탑이 있어 붙인 지명이다.

하일리(霞逸里)

서해에 접해 있고 경관이 좋아 세상을 멀리하며 숨어 사는 은둔의 마을이라 하여 하일리라고 한다.

능안고개 : 하일리와 능내를 왕래하는 고개라 붙여진 이름이다.

벌대총(伐大蠅)터 : 하일리 뒤에 있는 말 무덤터로 효종이 이곳 진강목장에서 생산된 명마의 이름을 벌대총이라 지은데서 유래되었다.

송릉골 : 무구낫 서쪽에 송릉이란 능이 있던 자리라 하여 그곳 골짜기를 송릉골이라 한다.

옹일(壅逸) : 산자락이 넓지 않은 곳에 자리잡은 옹색한 마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하곡초당(霞谷草堂)터 : 하일고개 남쪽에 있던 양명학의 태두로서 강화학파의 비조로 일컬어지는 하곡 정제두가 살던 집터라 붙인 이름이다.

하우고개(霞遇峴) : 진강산 서편으로 뻗은 산줄기에 있는 하일에서 삼흥리를 왕래하는 높은 고개로 남쪽골에 하곡 정제두가 우거하여 하곡현이라 부르다가 하우고개로 칭하고 있으며 하일에 있어 하일고개라고도 한다.

건평리(乾坪里)

이 마을이 자리잡은 곳이 건조한 들녘에 있어 건평리라 부르며 일설에는 하늘과 땅이 맞닿은 곳이라 하여 건평리라고도 칭한다.

노고산(老姑山) : 건평리 서편 해안에 있는 산으로 옛날에 한 노파가 이곳에 살았다 하여 노고산이라 한다. 이 노파는 기인으로 이 산과 해중에 있는 대섬에 양쪽 다리를 걸치고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았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대화촌(大華村) : 윗 건들에 있는 큰마을이라 대화촌이라 부르고 있다.

돌구지 : 진장포 동남쪽에 있는 산으로 물이 돌아 흐르는 곳이라 하여 돌구지라 부르고 있다.

양지촌(陽地村) : 건들 동편 양지쪽에 자리한 마을이라 양지촌이라 한다.

진장바위 : 대화촌 서쪽에 있는 바위로 이곳에서 김장거리를 씻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해망(海望) : 양지촌 남쪽에 있는 마을로 바다가 잘 바라보인다는 뜻으로 해망이라 하였다.

화촌(華村) : 본래 아랫마을이란 뜻으로 하촌(下村)이라 불렀으나 1930년경 화촌으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는 농민들의 여론에 따라 화촌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삼흥리(三興里)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삼문(三門)·흥천(興川)·존강(存江) 등 세 마을을 합하고 삼문과 흥천에서 한글자씩 취하여 삼흥리라 하였다.

산문 : 종래의 산문동(山文洞)이 산문동(山門洞)으로 바뀌었으며 산문동을 훈독하면 뫼갈마을로 진강산 북편골에 자리잡은 마을에서 유래된
듯하며 속칭 산문이라고 부른다. 삼문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직전까지 일시 사용하였던 산문의 옛 지명이다.

수차골(水車谷) : 산문 남쪽에 있는 골로 물레방아가 있던 곳이라 하여 수차골이라 부른다.

신선우물 : 존강과 산문 중간에 있는 우물로 신선이 마셨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월정(月井) : 존강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이 마을 한가운데 우물이 있었는데 달이 뜨면 항상 이 우물에 비추었다는데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달우물, 다릿말이라고도 한다.

존강 : 존강은 강, 즉 시내가 있는 마을로 예전에 조수가 이 마을 앞까지 들락거린데서 유래되었으며 속칭 종개이라고 부른다.

흥천 : 삼흥리에서 제일 큰 마을로 예전에 이곳 계암산 중록에 흥천사가 있어 붙여진 지명이다.

인산리(仁山里)

조선시대 이래 위량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종전 위량면 관할의 낙인동(樂仁洞)과 항주동(項州洞)에 흥천동 일부를 합하고 낙인동과 퇴모산(退帽山)에서 한글자씩 취하여 인산리라 하였다.

국사봉(國賜峯) : 황골 뒤에 있는 산으로 고려후기 병부상서를 지낸 전신(全信)에게 내린 사패지라하여 국사봉으로 부른다.

다락말(樓村) : 황골 서편에 있는 마을로 다락과 같이 비교적 높은 지대에 자리잡고 있어 다락말이라 칭한다고 한다.

성전(星田) : 황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이 마을에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성전이라 하였으며 우리말로 풀어서 별밭이라고도 부른다.

비선거리 : 호박골 앞에 있던 마을로 길가에 유수의 비가 있어 비선거리라 하였으나 1977년 인산저수지 건설로 수몰되어 지명마저 사라져 가고 있다.

야곡(冶谷) : 더치, 풀무골이라고도 부르며 예전에 이 마을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였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왕방(王訪) : 태종이 잠저시 동문 수학한 전신의 생가 마을인 이곳을 방문하였다는데서 유래되었으며 속칭 왕배이라고 부른다.

절텃골 : 왕방촌 뒤에 있는 골짜기로 예전에 임해사(臨海寺)란 절이 있다하여 불러온 이름이다.

호박골 : 양지 왕방 서편마을로 호박이 잘되어 호박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황곡(璜谷) : 속칭 황골이라 하며 황골은 큰골, 큰마을의 뜻을 가진 지명으로 옛 강주현이 있었다고 전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