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점면

고려때 있던 하음현(河陰峴)의 이름을 따서 조선시대 이래로 하음면이라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하음면에 간점면(艮岾面)과 외가면(外家面)을 합하고 하음에서 하(河)자와 간점에서 점(岾)자를 따서 하점면이라 하였다.

신봉리(新鳳里)

옛부터 새로 생긴 마을이란 뜻으로 새말, 신촌동(新村洞)이라 칭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신촌동에서 신(新)자와 봉상동(鳳祥洞)에서 봉(鳳)자를 따서 신봉리라 하였다.

가막내 : 봉천산 서쪽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이강리 앞 뜰을 거쳐 가막다리 밑으로 흐르는 내에서 유래되었다.

각곡(角谷) : 옛 하음현 터가 있던 마을로 양편에서 산줄기가 내려와 황소의 뿔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곡촌(谷村) : 봉천산 서남쪽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어 곡촌이라 하였으며 속칭 골말이라 부른다.

교촌(校村) : 본래는 다섯개의 우물이 있어 오수물이라 칭하다가 1922년 하점보통학교가 들어 서면서 학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교촌으로 부른다.

봉상동(鳳祥洞) : 개화기에 새로 등장하였던 지명으로 봉은 신령스러운 상상의 새이므로 상서로운 곳이란 뜻으로 명명한 듯 하다.

봉천산(鳳天山) : 고려때 하음백 봉천우가 봉천대를 쌓고 그 조상을 도우신 하늘에 제사를 지낸 산이라 하여 봉천산이라 부르며 조선시대에는 봉수대가 있었다.

소개(鳶峙) : 신봉리 새말에서 양사면 덕하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산이 오뚝하게 높은 곳에 있는 고개로 소개라 부른다고 한다.

장정리(長井里)

고려시대에 하음 봉씨의 시거지(始居地)라는 마을로 그들이 마시고 살던 긴우물이 있어 장정리라 부른다고 한다.

도간이(都間谷) : 장정 마을과 수월하 마을 사이에 있고 산으로 둘러 쌓여 있어 순수 우리말인 독안에서 취음한 것으로 추정된다.

봉은사(奉恩寺)터 : 고려때 평장사로 하음백에 봉한 봉천우가 그의 5대 선조인 봉우의 발상지를 기념하고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지은 절이라 봉은사라 불렀다고 한다. 일명 장정리 사지라고도 한다.

수월하(水月下) : 예전에 이곳에 수월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절아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장곡(長谷) : 긴우물골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장곡이라 하였으며 장골이라고도 한다.

종촌(鍾村) : 수월하 동북쪽 송해면 양오리와 경계에 있는 마을로 영암 종씨가 많이 살아 종촌이라 부른다.

탑산골 : 긴우물골 북서쪽 봉천산 밑에 있는 골짜기로 고려때의 오층석탑이 있어 탑산골이라 부른다.

부근리(富近里)

부근리는 예전 부근동(附近洞)으로 옛 하음현의 고을이 들건너에 있어 고을 부근에 있는 마을에서 유래된 듯 하며 부근동(富近洞)은 전의 부근동에서 음만 딴 것으로 추정된다.

대촌(大村) : 큰 부근이 윗부근이로 부르는 마을로 부근리의 모체가 된 큰말이라 대촌으로 부른다.

봉가지(奉哥池) : 부근리 420번지 안정골에 있는 못으로 고려때 하음 봉씨의 시조 탄생에 관한 전설이 서려있는 못으로 봉가지라 하였으며 봉정(奉井)으로도 부른다.

사직곡(社稷谷) : 큰 부근이 서쪽에 있는 마을로 하음현의 사직단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으로 사직골 또는 새작골로도 부른다.

소목골 : 대촌 북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소의 목처럼 생겨 소목골이라 부르며 창원 황씨가 많이 살아 황촌이라고도 부른다.

안정곡(鞍靜谷) : 마을의 모양이 소의 안장처럼 생겨 안장곡이라 부르다가 안정곡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치마대(馳馬臺) : 백련사 남쪽 고려산에 있는 터로 고구려때 연개소문 장군이 이곳에서 말을 타며 무예를 닦았다하여 치마대라 부른다고 전해진다.

하누재 : 백련사 동남쪽에서 강화읍 국화리의 청련사를 왕래하는 고개로 하늘에 맞닿은 것 같이 높아 보여 하누재라 부른 듯 하다.

삼거리(三巨里)

고려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줄기의 시내가 있어 이 마을을 지나려면 세 번이나 냇물을 건너야 한다고 하여 삼거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삼거동 일부를 신봉리에 이속시키고 삼거리라 하였다.

삼거천(三巨川) : 고려산으로부터 마을 앞으로 큰 시냇물이 세줄기가 흘러 합쳐진 시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삼태곡 : 망잿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지형이 삼태처럼 생겨 삼태곡이라 부르며, 삼탯골로도 부른다.

소동(小洞) : 신봉리 각곡에서 이 마을을 보면 소 죽통같이 보이고 저녘 햇빛이 많이 쪼이는 곳이라 소죽양이라 칭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작은마을이란 뜻으로 소동이라 하였다.

천곡(泉谷) : 시거리 서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골이 깊어 샘물이 사철 흘러 내려와서 마을 앞으로 흐르고 있어 천곡이라 부르며 샘골이라고도 한다.

천촌(泉村) : 샘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좋은 샘물이 있어 천촌이라 하였으며 샘말이라고도 부른다.

신삼리(新三里)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간점면 신성동(新城洞)에 삼거동(三巨洞)을 합하여 신삼리라 하였다.

동촌 : 동촌은 옛 신성동 서촌은 작은 시거리를 말하며 신삼리 중심지에서 보아 동쪽은 동촌, 서쪽은 서촌이라 하였다.

매저루 : 신삼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옛날 뒷산에 매곡사란 절이 있어 매저루라 부른다고 한다.

바랑골 : 서촌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바람이 세어 바람골이라 하였는데 뒤에 바랑골로 변하였다고 한다.

쇳돌구뎅이 : 돌 수산골 안에 있는 골짜기로 쇠가 났는데 질이 나빠 화문석 매는 고드렛돌을 만들었다하여 쇳돌구뎅이라 한다.

신성동(新城洞) : 조선후기에 새로 생겼던 지명으로 새로 조성되었다는 뜻으로 사용한 듯 하며 지금의 동촌을 말한다.

피랏골 : 신성동 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피밭골 즉, 피를 심던 밭을 말하며 와전되어 피랏골이라 부른다.

망월리(望月里)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는 원래의 외가면 소속이었으나 신설된 하점면과 통합하면서 산곶동과 합하였고 마을이 벌판 가운데 있어 달뜨는 것을 먼저 바라본다고 하여 망월리라 부른다.

갈마산(渴馬山) : 다운이 동남쪽에 있는 산으로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감낙골 : 미꾸지 남쪽 산밑에 있는 마을로 감나무가 많아서 감낙골이라 부른다.

검지물 : 미꾸지 북쪽에 있는 마을로 큰 우물이 있어 검지물이라 하였다.

고백산 : 미꾸지 동쪽 산으로 산 오르막이 매우 경사가 심해 마치 콧등과 같다고 하여 ‘코백’이라 하다가 ‘고백’으로 변한것이라 한다.

다운(多雲) : 옛부터 마을에 안개와 구름이 자주끼어 다운이라 부르고 있다고 전한다.

만리성(萬里城) : 망월리와 창후리에 걸쳐 해변을 방비하기 위해 쌓은 외성으로 성이 길어 만리성이라 부른다.

미꾸지 : 망월리 동남쪽 산 밑에 있는 마을이다.

산화(山花) : 낙조봉 서쪽 줄기가 길게 뻗은 곳에 있는 마을로 산곶(山串) 즉 뫼곶으로 산화는 뫼곶과 같은 뜻이며 속칭 미꾸라지라고 부른다.

정창구렁 : 다운 마을과 신삼리 서촌 경계에 있는 구렁으로 부근에 욕심이 많고 인색한 정첨지가 살았는데 어느날 도승이 찾아와 이 길을 뚫어 길을 내면 앞으로 더 큰 부자가 되리라고 하여 그 말대로 구렁을 뚫어 길을 내고 망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어 정창구렁이라 부른다.

하망월(下望月) : 망월벌 아래쪽에 있어 하망월이라 부르며 아랫말로도 부른다.

해나무우물 : 하망월 동녘말과 서녘말 사이에 있는 우물로 우물가에 해나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호랭이바위 : 다운 남쪽에 있는 바위로 호랑이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창후리(倉後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간점면 창교동(倉橋洞)에 강후동(江後洞) 일부를 합하고 창교동에서 창(倉)자와 강후동에서 후(後)자를 합하여 창후리라 하였다.

홍각시골 : 홍각시묘가 있는 골짜기라 붙여진 이름이며 예전에 충청남도 보령의 이씨 신랑과 이강리 홍씨 신부가 혼약을 맺었는데 신랑이 갑자기 병으로 죽었다는 흉보를 듣고 뒷산에 올라 남쪽을 보고 통곡하다 자결하여 신랑 집안에서 이 소식을 듣고 아들의 시체를 보내어 합장하였으며 산소 양옆에 큰바위가 있었는데 산소를 쓴 후 붉고 초록색 이끼가 끼어 마치 신랑 신부의 차림새처럼 보여 인근 사람들이 신랑 신부의 넋이 나타난 것이라 하여 신랑 각시바위라고 부른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뒷물 : 뒤에 우물이 있는 마을이라 뒷말이라 부르다가 와전되어 뒷물이라 부르며 후정 또는 뒤우물이라 부른다.

별립산(別立山) : 산이 산맥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따로 떨어져서 있는 산이라 하여 별립산이라 하고, 또한 벼락산, 별악산이라고도 한다.

벌말 : 창말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막집이 있었고 갯벌이 있는 마을이라 벌말이라 불렀다.

빙구모팅이 : 사탯말 서북쪽 모퉁이에 있는 마을로 빙고(氷庫) 즉 얼음창고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사촌(沙村) : 홍수가 나면 산사태가 심하여 붙여진 지명으로 속칭 사태말이라 부른다.

장사바위 : 별립산에 있는 바위로 옛날 천하에 이름을 떨칠만한 남장사와 여장사가 바위에 앉았다가 일어서며 바위에 선을 그었다고 하는데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하여 장사바위라 부른다고 전한다.

저릅산석굴 : 별립산 남쪽에 있는 석굴로 별립산을 저릅산이라 부른데서 유래되었다.

저운동고개 : 미럭굴 북쪽에서 양사면 인화리 저운동을 왕래하는 고개라 붙여진 이름이다.

이강리(梨江里)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종전 이현동(梨峴洞)에 강후동(江後洞)의 일부를 합하고 이현동에서 이(梨)자와 강후동에서 강(江)자를 따서 이강리라 하였다.

가마구다리(烏橋) : 함촌말 남쪽 삼거촌에 있는 다리로 하점면의 복판에 있어 까마득하게 멀리보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하며 하점교라고도 부른다.

강말 : 성경 남쪽 길가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마을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고 하여 강말이라 부른다.

모현(茅峴) : 띠풀이 많이 나는 마을이라 모현이라 하며 뜨재라고도 한다.

배우고개 : 이강리 동북쪽에서 인화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옛날 배나무가 많아 배고개라 부른데서 유래되었다.

삿갓추리 : 이 마을은 풍수설에 의하면 마을 뒷산 산맥 중심부에 집을 지어야 잘 산다는 전설이 있어 집을 지었는데 중심부에서 벗어나지 않는 곳에 계속 새로 지어 지붕이 맞닿아 마치 삿갓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으로 이현(梨峴)의 속칭이다.

선우물 : 선우물골에 있는 약샘으로 위에서 떨어지는 물을 선채로 맞는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풍병에 신효하다고 한다.

성경(城境) : 성경대라는 활터가 있어 붙여진 지명이며 강서중학교 부근 일대의 마을이다.

함촌(咸村) : 강말 북쪽에 있는 마을로 함씨가 많이 살아 함촌이라 하며 강후동으로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