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산면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석모도(席毛島)에 있는 해명산(海明山), 상봉산(上峯山), 상주산(上主山) 등 세 개의 산이 있다고하여 삼산면이라 칭하였다.

석모리(席毛里)

물이 돌아 흐르는 곳에 돌이 많은 산변의 모퉁이란 뜻으로 석우도(石隅島), 돌모르라 하였는데 돌모르를 한자로 표기할 때 음만 같은 석모로도(席毛老島)라 칭한 듯하다.

개정동(蓋井洞) : 이촌말 서쪽에 있는 마을로 뚜껑이 있는 우물에서 유래되었으며 뚜껑말이라고도 부른다.

동녘개 : 석모리 동편에 있는 큰 갯골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예전에 박석을 모아 배로 실어 반출하던 유일한 개포이다.

목개(木浦) : 석모리 서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이 마을앞 갯골에 큰나무 다리가 있어 목교라 부르다가 목개로 변하였다고 한다.

밤개(栗浦) : 옛날에 밤나무가 많은 골짜기로 밤이 많이 생산되어 밤계라 부르다가 밤개로 변하였다고 전한다.

신동(新쪎) : 농경지를 넓히면서 새로 막은 보뚝이라 신동이라 부른다.

야곡천(冶谷川) : 새가리고개에서 발원해서 북쪽으로 창말 윗편을 흐르는 풀무기내로 야곡천이라 부른다.

이촌말(李村) : 뚜껑말 동쪽에 있는 마을로 이씨가 많이 살아 이촌말이라 부른다.

창(倉)말 : 석모리 당산아래 큰 마을로 옛날에 군사 기물을 보관하던 창고가 있어 창말이라 하였다.

풀무기 : 이 골짜기에는 초장과 하천이 좋아서 옛날에 국마를 방목했던 곳으로 풀이 무성하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상리(上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종전의 교동군 송가면(宋家面) 1·2리가 삼산면에 편입된 지역으로 옛 송가면 중심에서 위쪽에 자리하고 있어 상리라 하였다.

뒷골 : 창동 북쪽 뒤에 있는 마을이라 뒷골 또는 후곡(後谷)이라 부른다.

상주마을 : 상주산 밑에 제일 먼저 부분적으로 뚝을 막아 이룩된 마을로 상주산 아래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새너머 : 뒷골 북쪽 너머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 새너머라고 부르며 간곡(間谷)이라고도 한다.

석정동(石井洞) : 신창동 서쪽에 있는 마을로 바윗틈에서 샘솟는 우물이 있다고 하여 석정동이라 부른다.

십결(十結) : 예전에는 농지면적을 결로 나타내 이를 조세단위로 써왔는데 한결이 약 2ha로서 창말앞 벌에 있던 이 마을의 최초면적이 10개의 결을 합친 면적과 같다고 하여 십결 부락이라 전해오고 있으나 지금은 경지정리로 이주 폐동되었다.

장텃거리 : 옛날에 물물 교환을 하던 장이 서던 곳이라 하여 장텃거리로 부른다.

창동(倉洞) : 예전에 나라의 군향미를 보관하던 창고가 있던 마을이라 하여 창동이라 한다.

하리(下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종전의 교동군 송가면 3·4리가 삼산면에 편입된 지역으로 옛 송가면의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어 하리라 하였다.

신동(新洞) : 제방을 축조하면서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신동 또는 새말이라 부르고 있으며 제방축조전에는 개건너 마을로 불리었다.

장골(長谷) : 상주산 서쪽 끝 줄기 후미진 긴골에 있는 마을로 장골이라 하였으나 저수지 시설로 수몰되어 이주하였다.

조상곶(潮上串)부리 : 장골 서북쪽에 있는 곶으로 조수가 높은 곳까지 밀어오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탄포(炭浦) : 장곡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숯을 굽던 곳이라 숯개라 하며 한자로 표기해 탄포라 하였고 서해 각 도서를 왕래하던 나루터가 있었다.

석포리(石浦里)

강화본도 외포리와 마주 왕래하는 곳으로 포구에 화강암이 깔려있어 돌로 된 포구가 있어 석포리라 하였다.

공포(貢浦) : 옛날 나라에 헌물한 포구마을이라 하여 공포로 부른다고 하며 일설에는 지형이 둥글게 생겨 공포(孔浦)라 부르기도 하며 또한 공개라고도 한다.

납도(納島) : 옛날 바닷가 포구마을에서 흔히 풍어와 수신제를 지냈으며 그런 섬을 납도라 부른데서 유래되었으며 지금은 삼산 본도와 연육되었다.

농막골(農幕谷) : 옛날에 농사와 염전을 하던 사람들이 일자리 근처에 농막을 짓고 살던 곳이라 농막골이라 부른다.

대섬(竹島) : 석포 동북쪽에 있는 섬으로 옛날에 대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대섬이라 부르며 조선시대에는 군사용 화살을 공급하였다고 한다.

돌캐나루부리(石浦船艙) : 석포에서 외포리를 왕래하는 나루터로 뾰죽하게 나온 부리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방꾸지(췍串地) : 납섬과 삼산 본도 사이에 제방을 축조하기 전에 해수가 드나들 때 물살이 세차게 돌아흐르던 난곶지(蘭串地)이고 네모난 바위는 방곶지(方串地)라 하였는데 절구형 모양이라 방아꾸지라 불렀다가 변하여 방꾸지가 되었다.

전득이고개 : 큰말에서 매음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그 아래에 전씨가 먼저 자리를 잡고 살아 번성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매음리(煤音里)

옛날에 이 지역에 소금밭이 많아 소금을 만들 때 큰 가마솥에 짠물을 넣고 청솔가지를 때서 시커먼 연기가 치솟고 불타는 소리가 요란하여 그을음 매(煤)자와 소리음(音)자를 따서 매음리라 부른다고 전해오고 있다.

나뭇개(木浦) : 매음리 동편 첫머리에 위치한 마을로 석포리와 접경으로 흙세가 좋고 많은 나무가 생산 반출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너분배 : 해변에 있는 옛날 채석장자리 일대로 바위가 넓어서 이렇게 불러왔으며 지금은 선수와 매음리를 왕래하는 카페리선의 나루터가 되었다.

마성터(馬城地) : 해명산 아래 큰말과 웃말 부락 뒷산일대는 남향으로 따뜻하고 초지가 좋아서 옛날에 국마를 방목하였던 자리라 마성터라 부른다.

말목재 : 고려 공민왕때 나라에서 말을 방목하였는데 그 당시 말떼를 몰던 언덕의 길목에서 유래하였다.

범이기부락(虎口形部落) : 뒷산 모양이 범이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이라 붙여진 지명이다.

보문사 마애석불좌상(磨崖石佛座像) : 보문사 뒤 낙가산 암벽(일명 눈썹바위)에 조각하여 놓은 석불좌상이라 붙인 이름이다. 1928년 표훈사 주지 이화응과 보문사 주지 배선주가 조각한 것이라 한다.

사하동(寺下洞) : 보문사아래 있는 마을이라 사하동 또는 절아래라 칭하며 석모리에서 볼때는 상봉산 너머라는 뜻으로 배편이라고도 부른다.

염밭(鹽田) : 갯벌을 갈고 바닷물을 햇볕에 말린 다음 가마솥에 넣고 졸여서 소금을 만들던 재래식 소금 제조방법으로 소금밭이란 뜻에서 유래하였다.

장구너머 : 산마루가 장고처럼 생겨서 장구너머라고 부르며 장구마을이라고도 한다.

조거령(鳥去嶺) : 세란 동천위에 있는 고개로 산이 험준하여 날짐승만 넘을 수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새가리고개라고도 부른다.

탑재 : 옛날에 국토 방어 진지로 삼면의 관측이 용이한 요망대와 탑을 이곳에 세웠다하여 탑재라고 부른다.

서검리(西檢里)

옛날에 중국에서 서해를 통해 우리나라를 출입하는 선박들을 검문 통제하던 기관이 있던 곳으로 강화의 서쪽에 있는 섬이라 서검리라 하였다.

검다산 : 서검리 앞에 있는 산이다.

솔책 : 서검리 북쪽에 있던 섬으로 모양이 동서로 길게 놓여 있고 좁기 때문에 솔책이라 부른 듯하며 지금은 서검 본도와 연육되었다.

염판 : 검이산 북쪽에 있는 소금밭을 말한다.

미법리(彌法里)

옛날에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입국할 때 서검도에서 한강하류를 통해 서울로 가는 선박을 통제 검열하였는데 미법도부터는 검열하는 곳이 끝난다고 하여 그칠 미(彌)자와 법 법(法)자를 사용하여 미법리라 하였다.

남선창(南船艙) : 미법리 남쪽에 있는 나루터이다.

노르뫼기 : 당산 북쪽에 있는 후미로, 노루의 목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당산(堂山) : 남선창 서쪽에 있는 산이다. 당집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