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 C
Ganghwa-gun
형태별 분류 능묘,와 고분

능묘,와 고분

남한에 남아있는 고려왕릉

Ο 강화 홍릉 지정번호 : 사적 제224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산 180번지 고려 23대 고종(高宗, 1192~1259)의 무덤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고종이 1259년(고종 46) 6월 임인일에 재상 유경(柳璥)의 집에서 승하하자, 그 해 9월 기미일에 홍릉에 장례 지냈다.’고 하였다. 원래의 홍릉은 높게 쌓은 3단의 축대로 이루어져 제일 아래에...

일반묘역

Ο 이규보 묘 지정번호 : 기념물 제15호 소재지 : (23048)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까치골길 72-17 (길직리 고려의 문신이자 문장가인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1168∼1241) 선생의 무덤이다. 고려의 무신정권 하에서 태어나 무신정권에 적극 협력했던 문인의 한 사람으로, 1191년(명종 19)에 진사시에 합격한 후 최충헌(崔忠獻)에게 발탁되어, 여러 관직을 거쳐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에 실려...

총(塚)과 고분(古墳)

왕가의 무덤 능(陵), 묘(墓), 총(塚), 고분(古墳)의 분류 능 : 능묘의 준말로 왕이나 왕비의 무덤, 사후에 왕으로 추증되면 원(園)에서 능으로 승격 묘 :  그 외에 빈, 왕자, 옹주, 공주, 후궁, 귀인 들뿐 아니라 일반인의 무덤 총 : 무덤의 주인은 알 수 없으나 다른 무덤과 특별하게 구분될 수 있는...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파랑새

치루치루미치루가 찾아 다니던 행복의 상징 파랑새 파랑새 한쌍이 사랑을 나누고있다

강화군, 제68회 현충일 추념식 개최

강화군(군수 유천호)은 6일 오전 강화읍 견자산 현충탑 광장에서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을 거행했다. 이날 추념식에는 유천호 군수를 비롯해 강화군 보훈단체장,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 군의원, 해병제5여단장, 강화교육지원청...

뻐꾸기

지나는 길옆에 뻐꾸기가 있었음 좋겠다는 생각으로 가는데 정말 도로옆 전깃줄에 뻐꾸기가 앉아 울고 있다. 자식을 품지 못하고 남의둥지에 알을 낳아놓고 그 새끼가 태어나고 다 자랄때까지 남의둥지앞에서...

개개비

물 습지의 갈대숲. 풀밭등에 서식하며  요란스럽게 울어대는 개개비가 돌아왔다. 전국적으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며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갈대속으로 이동하며 먹이를 찾고 갈대숲속이나 풀밭속, 갈대위로 올라와 개개비비...

금년에도 제비가 찾아왔어요

몇년째 찾아와 2차 번식까지 했는데 금년에도 제비가 찾아와 있던 둥지에 알을 낳고 품더니 5마리 아기제비가 태어났다.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아기제비를 위해 제비부모는 쉴새없이 먹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