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C
Ganghwa-gun
자연/생태 페이지 4

자연/생태

소쩍 소쩍 소쩍새

지난해 번식했던 장소에서 올해도 소쩍새가 둥지를 틀고 2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듯하다. 작은 둥지속에서 바깥세상이 궁금한듯 살그머니 고개를 내밀고 온몸을 흔들며 춤을춘다

쇠물닭 가족

지난해 쇠물닭이 번식했던 장소 금년엔 여러번 둘러봐도 찾을수없었는데 오늘 지나는길 물가에아주 작은 검은물체가 움직인다. 그러더니 쇠물닭부부와 어제나 오늘 알에서 깨어난듯한 쇠물닭유조 7마리가 보인다..작고 검은녀석들이 얼마나 앙증맞고 이쁘던지 욕심도 많지 어떻게 7마리나 번식에 성공했을까? 부디 무사히 잘 살아가주길..  

대륙검은지빠귀

2024. 6. 05 강화에서 첫 관찰된 대륙검은지빠귀다. 일이 있어 올라갔던 견자산에서 뭔가 검은녀석이 순식간에 사라진다. 그렇게 몇번을 다시 둘러보는데 나뭇가지위에 앉아 있는걸 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7월 14일 강원 고성에서 번식이 확인된 이후 관찰기록이 증가하고 있다고하며 적은 수가 통과하는 나그네새라고 한다. 이제는 서울등 우리나라에서도 여러곳에서 번식을 한다하고 이번에 만난 대륙검은지빠귀도 한쌍인것을 보면...

붉은왜가리가 왔다.

전체적으로 회색인 왜가리는 논, 여기저기서  흔하게 보이지만 붉은왜가리는 드물게 찾아오는 나그네새로  붉은왜가리가  강화 교동에서 2년전 첫 관찰이후 두번째로 이번에 다시  강화도에서 관찰이 되었다. 붉은왜가리가 나타났다는 지인의 연락에 달려가 만나고 왔다. 몸은 전체적으로 푸른 기운이 있는 회흑색이며, 부리와 목이 상대적으로 길고, 목 부분과 경부에 갈색 깃이 섞여 있으며, 머리, 뒷목,...

천연기념물 뜸부기

2024. 6. 12일 천연기념물 뜸부기가 돌아왔다. 여름철새인 뜸부기는 주로 논에 서식하며 둥지는 벼포기를 모아 만들거나 습지주변 풀밭에 풀줄기를 이용해 접시모양으로 만들며 경계심이 강하고 번식기에 수컷은 뜸 뜸 뜸 특유의 울음소리를 낸다. 아직은 벼가 무성허지 않으니 비교적 쉽게 관찰이 되었다.    

새호리기

새호리기 한마리, 반갑다고  손 흔들며 인사 합니다.

아물쇠딱다구리

2024. 6. 6 아빠 아물쇠딱다구리 한마리. 맑고 파란 하늘이 아름다운 날 마른 나무위로 날아와 한참을 우두커니 있더니 깃털을 다듬는다. 한자리에서 꼼짝도 안하고 돌아갈줄도 모르고 저러구있다.    

뻐꾸기

꾀꼬리

꽃양귀비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

검은딱새

2025. 4. 8 게절은 어찌그리 알고 이리들 찾아오는걸가? 검은딱새 한쌍이 수로옆 풀숲사이로 먹이 찾아 분주히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