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 C
Ganghwa-gun

최순례작가의 새

어쩌다 넌?

왜가리 한마리 먹이를 잡아 먹나보다 했다. 그래서 열심히 셔터 누르다 확인하니 웬걸 부리에 먹이가 있는게 아니라 뭔가 이상해 자세히 살펴보니 부리가 위로 아래로 벌어져있고 부리 아래로 혓바닥도 보인다. 어쩌다 저리된걸까? 저 상태로는 물고기 사냥도 어려울듯한데 안타깝다.

종달도요

국내에는 흔한 나그네새로  봄철 4~5월  물 고인 논이나 습지에서 관찰되며  작은 무리를 이루며        곤충의 유충, 갑갑류, 조개류등을 먹는다.

양비둘기

  2024. 4. 30 국내에서는 적은 수가 남해 도서지방에서 서식하며, 극소수가 내륙 사찰(구례 천은사)등에서            서식하는 매우 드문 텃새라는 낭비둘기가 강화에서 관찰이 됐다는 소식은 들은지 얼마의 시간이        흘렀는데 오늘 도요 찾아 나선길에 전봇대위 비둘기 2마리가 보여 자세히 살펴보니   ...

검은턱할미새

아종으로 분류되는 검은턱할미새 한마리 물가에서 먹이를 찾아 다닌다. 나그네새이며 드물게 월동을 하기도 한다고하며  봄과 가을에 관찰된다.    

붉은머리오목눈이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랑이 찟어진다는 속담속의 새 그리고 뻐꾸기가 둥지에 낳아놓은 알을 품으며 뻐꾸기 새끼가 자시 새끼를 다 떨어트려 죽여도 아는지 모르는지 몇배 덩치가 큰 녀석을 죽어라 먹이를 물어다 먹이며 키우는 아까깝고 안쓰러운 새. 뱁새의 또 다른 이름 붉은머리오목눈이다

꼬마물떼새

여름철새인 꼬마물떼새 노란 눈테가 뚜렷해 다른종과 쉽게 구별되며 하천, 자갈밭 매립지등에서 서식하고 먹이는 주로 곤충을 먹는다. 자갈밭이나 밭,등에 둥지를 만들고 4개의 알을 낳아 24~28일정도  포란한다  

검은머리물떼새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바뀐지도 오래 되었건만 그동안 뭘하고 있었는지.. 오랜만에 바닷가에 잠깐 나가봤다. 뒷부리도요. 알락꼬리마도요. 그리고 청다리도요 . 왕눈물떼새. 검은머리물떼새등  개체수가 많지는 않았지만 보인다. 검정색 연미복에  립스틱 짙게 바르고 갯벌에서 먹이를 찾느라 분주하다.

홍방울새

홍방울새가 겨울을 이곳에서 나는거 같다. 귀한손님 소식에 전국에서 몰려오는 사진가들과 탐조인들이 주는 먹이에 길들여진듯 사람들이 가까히 있어도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 그래도 이 겨울, 사람들이 주는 먹이긴 하지만, 충분히 먹고 돌아갈수있어 다행이다.  

털발말똥가리

캄차카털발말똥가리 성조라는 털발말똥가리가 강화읍에서 관찰되었다.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북부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에는 11월 하순부터 도래하여, 3월 초순까지 머문다.

황조롱이는 식사중

참새 한마리 ㅂ잡아다 맛있게 식사하는 황조롱이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

검은딱새

2025. 4. 8 게절은 어찌그리 알고 이리들 찾아오는걸가? 검은딱새 한쌍이 수로옆 풀숲사이로 먹이 찾아 분주히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