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 C
Ganghwa-gun

강화 지명의 유래

교동면

신라 경덕왕때부터 교동현 즉, 큰오동나무 고을이라 칭하였으며 1934년 종래의 교동현의 이름을 따라 교동면으로 부르고 있다. 대룡리(大龍里) 옛날 이 마을에서 역마를 사육하여 대역촌(大驛村)이라 부르다가 뒤에 대아촌으로 개칭하였다. 교동의 중심이 되는 큰 마을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대룡리라 하였다. 대명(大明) : 매바지와 방골을 합쳐서 대명이라 부르고 있으며 대명은 하늘에 제사지내는...

삼산면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석모도(席毛島)에 있는 해명산(海明山), 상봉산(上峯山), 상주산(上主山) 등 세 개의 산이 있다고하여 삼산면이라 칭하였다. 석모리(席毛里) 물이 돌아 흐르는 곳에 돌이 많은 산변의 모퉁이란 뜻으로 석우도(石隅島), 돌모르라 하였는데 돌모르를 한자로 표기할 때 음만 같은 석모로도(席毛老島)라 칭한 듯하다. 개정동(蓋井洞) : 이촌말 서쪽에 있는 마을로 뚜껑이 있는 우물에서...

서도면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강화부의 여러 섬인 주문도(注文島)·아차도(阿此島)·볼음도(乶音島)·말도(唜島) 등 네 개의 섬을 묶어서 강화본도 서해상에 분포되어 있다고 하여 서도면이라 칭하였다. 주문도리(注文島里) 옛날에 나라의 사신이 배로 중국을 왕래할 때 이 섬에서 한양에 있는 국왕에게 중간보고의 글을 올렸다고 하여 물가를 뜻하는 삼 수변에 임금 주(主)자를 합한 주(注)자와 글월문(文)자를...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작은주홍부전나비

제비

제비무리중 한마리가 부분 루시즘에 걸린것으로 보인다. 루시즘은 동물의 눈을 제외한 피부나 털, 깃털, 비늘,  큐티클층이 부분적인 색소 소실로 인해 희거나 밝게, 혹은 얼룩덜룩하게 보이는...

선원면 새마을부녀회, 행복 나눔 행사 펼쳐

강화군 선원면 새마을부녀회(회장 유갑희)는 지난 27일, 행복나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취약계층의 식생활 지원과 건강한 먹거리 나눔을 위해 마련됐으며, 회원들은 정성껏 준비한 달걀 100판을...

역사와 빛이 어우러진 ‘강화별밤야행(夜行)’ 오는 9월 5~6일 개최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오는 9월 5일(금)부터 6일(토)까지 이틀간 강화읍 용흥궁공원과 원도심 일원에서 ‘2025 강화별밤야행(夜行)’을 개최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한 이번 축제는 강화의 역사문화 자원을 무대로, ‘6夜(야설·야사·야로·야경·야식·야시)’의 테마...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 완화로 소상공인 지원책 강화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상권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을 완화하고, 희망 상인회를 대상으로 오는 9월 10일까지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