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 C
Ganghwa-gun
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

제103호 완초장 왕골로 기물을 만드는 일 및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103호로 지정되어 있다. 왕골은 논 또는 습지에서 자라는 1년생 풀로서 용수초(龍鬚草)·현완(懸莞)·석룡추(石龍芻)라고도 한다. 제품으로는 화방석(4각·8각·원형의 방석)과 삼합, 송동이·소품 등이 있으며 모두 강화에서 부업으로 만들어 내는 특산품이다. 제작방법은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과 손으로 엮는 방법이...

인천시 무형문화재

제1호 삼현육각 (三絃六角) 삼현육각은 조선시대 궁중무용과 행악, 지방관아의 연회, 높은 관리나 귀인의 행차, 향교의 제향 및 각 지방에서 신에게 제사 지낼 때 두루 쓰이던 악기편성을 뜻한다. 향피리 2명과 대금·해금·장구·북 각 1명의 6인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악기의 종류나 편성인원에 다소의 차이가 있으며 지역(경기·호남·해서·영남 등)에 따라...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

검은딱새

2025. 4. 8 게절은 어찌그리 알고 이리들 찾아오는걸가? 검은딱새 한쌍이 수로옆 풀숲사이로 먹이 찾아 분주히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