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 C
Ganghwa-gun
세계유산 세계유산고인돌

세계유산고인돌

세계유산이란

Ο 세계유산이란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유네스코(UN 교육과학문화기구)가 1972년 채택한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 협약’에 따라 등재된 유산을 말한다. 세계유산에는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이 있다.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은 세계유산등재기준(문화유산 : 현존하는 혹은 이미 소멸한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에 관한 독특한 증거가 있는 것)에 해당하여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Ο 우리나라의 세계유산 우리나라의...

거석문화와 고인돌

Ο 거석문화란? 거석문화(巨石文化)는 인간이 일정한 목적 의식을 가지고, 자연석 또는 가공한 돌로 구조물을 축조하여 숭배의 대상물이나 생활의 한 방편으로 이용한 문화를 말하며 거의 전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일반적으로 세계의 거석문화는 선사시대의 기념물이나 거석무덤 등 큰 돌을 이용한 고인돌〔支石墓〕이나 선돌〔立石〕이 이에 해당되고, 작은 돌을 이용한 돌널무덤이나 돌무지무덤도 포함된다. Ο 우리나라의 거석문화 옥펀 석탄리...

세계유산 고인돌의 특징

첫째, 산을 중심으로 정상이나 그 경사면과 끝자락에 주로 분포한다는점이다. 고창은 성틀봉과 중봉, 화순은 조봉산과 만지산, 강화는 고려산을 중심으로 대부분 분포한다. 둘째, 서해안이나 서해안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 강이나 하천 등 물줄기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고창은 고창천과 인천강, 화순은 인근의 지석강, 강화는...

세계유산 강화고인돌의 지역분포

강화에는 160여 기의 고인돌이 고려산과 별립산 주변에 산재하고 있으며 이중 세계유산에 등재된 고인돌이 5개 군락 2개 단독고인돌 70기로 지역별 분포는 아래와 같다. Ο  강화 대산리고인돌(기념물 제31호) 강화읍 지역의 유일하게 하나뿐인 대산리 고인돌은 대산리 마을의 해발 약 20m 능선에 탁자식 고인돌로 3매의 받침돌이 있다. 비교적 양호한 덮개돌의...

세계유산 강화 고인돌

강화에는 대체로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편마암의 탁자식 고인돌이 많다. 2000년 12월 고창, 화순 고인돌 유적과 함께 강화의 고인돌 유적은 사적 제137호의 강화 부근리 지석묘를 비롯하여 70기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강화 고인돌은 하나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고인돌 군이 대부분이며 기타 고인돌은 1기 또는 2기로 형성되어 있고, 강화 고인돌은 이후 다시...

우리나라의 세계유산 고인돌

Ο 고창 고인돌 전라북도 고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고인돌 군집을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 죽림리와 도산리 일대 매산 마을을 중심으로 무려 442기가 분포하고있다. 이토록 전 세계적으로도 고인돌이 가장 밀집된 것은 한반도의 청동기시대의 장례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선사인 들의 정신상, 사회상, 문화상, 장례문화 등을...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큰주홍부전나비

개개비

2022. 09. 18

꽃마리

바늘꼬리도요

벼가 영글어가는 들녁, 좁은 논두렁 저멀리서 바늘꼬리도요 한마리가 관찰되었다. 거리도 멀고 풀숲이라 도저히 초점이 맞질 않아 겨우 인증샷으로 담을수있었다.  

유천호군수, 농어민 공익수당 70%확대지원 인천시장 면담

유천호 강화군수는 18일 오후 인천시장을 면담해, 「농·어업인 공익수당」 지급을 촉구하며, 시비 예산을 기존 50%에서 70%로 확대해 줄 것을 건의한다고 밝혔다. 2021년 인천시는 ‘인천광역시 농어업인 공익수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