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 C
Ganghwa-gun
미분류 페이지 6

미분류

제161호 강화 정수사 법당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161 소재지 : (23059)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1258번길 142 (사기리 신라 639년(선덕여왕 8) 회정선사가 세워 정수사(淨修寺)라고 했다. 조선시대 세종때 함허대사가 다시 지었는데, 건물 서쪽에서 맑은 물이 솟아나는 것을 보고 이름을 정수사(淨水寺)라 고쳤다고 한다. 이 법당은 석가모니 불상을 모신 대웅보전으로,...

제178호 강화 전등사 대웅전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178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전등사 대웅전은 조선 후기의 목조건축물로 전등사의 중심 예배공간이다. 전등사는 고구려 381년(소수림왕 1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1605년(선조 38)과 1614년(광해군 6)에 큰 불이...

제179호 강화 전등사 약사전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179 소재지 : (23028)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전등사 약사전은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이다. 전등사는 고구려 381년(소수림왕 1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1605년(선조 38)과 1614년(광해군 6)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제393호 전등사 철종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393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이 종은 1097년(북송 소성 4)에 중국 회주(懷州) 수무현(修武縣) 백암산(百巖山) 숭명사(崇明寺)에서 주조된 철제 종이다. 종의 형태는 정상에 두 마리의 용을 갖추고 용 머리 주변에는 16개의 연꽃잎을 돌렸으며, 종의 몸체에는 위쪽에...

제994호 강화 백련사 철조 아미타여래좌상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994 소재지 : (23014)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고려산로61번길 270 (부근리) 이 불상은 고려 후기에 유행한 단아한 양식을 따르고 있는 철조불상이다. 갸름한 얼굴, 단정한 눈·코·입, 좁아진 어깨, 손발의 곡선 처리 등은 절제된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옷은 두껍고 주름은 단순한데 왼쪽 팔꿈치...

제1785호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보물 제1785호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이 목조삼불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전북, 충남 등지에서 활동하던 수연(守衍)이 수화승으로 참여하여 1623년에 조성한 불상이다. 삼불의 구성은 석가불을 본존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이 좌우에 협시하는 형식으로서 조선 후기에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삼세불의...

제1786호 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보물 제1786호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은 조성원문을 통하여 1636년이라는 뚜렷한 조성년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이 조각승 수연(守衍)에 의해 조성된 지 13년이 지난 뒤에 역시 수연이 중심이 되어 제작한 상들이다. 지장보살상과...

솔부엉이

제1787호 강화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보물 제1787호 소재지 : (23028)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188번길 112 (국화리, 청련사)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단정하고 우아한 상호, 단아하고 세련된 조형미, 완급 조절이 잘 표현된 옷주름 등에서 세련되고 품격 높은 고려시대 불교미술의 경향을 잘 드러내고 있다. 비록 조성기나 중수기...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노랑할미새

2025. 4. 30 노랑할미새 부부가 둥지를 준비하는듯한다.

낙오된 흑두루미 유조

2025. 4. 23 흑두루미 유조 한마리가 어쩌다 낙오되어 혼자 있는걸까? 어제 못 나가봤기에 오후에 잠깐 연리에 나갔는데 멀리 흑두루미가 보인다. 이번엔 흑두루미 못만나고 지나가네 했는데 가슴이 쿵당쿵당 먹이...

검은머리물떼새

2025. 4. 18일 갯벌에서나 볼수있는 천연기념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육지 농로로 날아왔다. 농로에서 쉬던녀석들중 3마리가 날아가자 한마리가 남아 울어댄다. 그러자 날아가던 3마리가 다시 날아와 합류하며 쉬더니 포터 한대가 다가가자...

노랑머리할미새

2025. 4. 16일 지난해 노랑머리할미새가 선원면에서 관찰되었다고해 수없이 찾아 다녔지만 찾을수 없었다. 그런데 오늘 새 한마리가 날아 수로옆에 앉기에 보니 노랑머리할미새다. 역시 찾아 다닌다고 보이는게 아니라 보여줘야 본다는.. 아주...

쇠청다리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