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 C
Ganghwa-gun
미분류 페이지 7

미분류

제1908호 묘법연화경목판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보물 제1908호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전등사 법화경판은 조선 1544년(중종 39)에 제작된 것으로, 법화경은 조선시대에 가장 많이 읽혀진 부처님 말씀이다. 법화경의 성립연대는 대체로 기원 전후에 성립되었다고 하는 설이 일반적이며 산문(散文)과 시구(詩句)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살, 비구,...

흰발농게

개개비

갈퀴나물

6. 갑곶의 대교

강화군민들의 가장 큰 숙원은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로 1970년 1월 2일 강화대교가 개통되어 그 꿈을 이루게 되었다. 강화는 바다로 둘러싸인 섬으로 둘레가 배를 마음대로 접안할 수 없는 특수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서해안 특유의 빠른 물살과 험류로 인하여 고려시대 몽골군이 빤히 건너다 보이는 강화도를...

7. 연미정의 달맞이

연미정은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 서해로 흘러오다가 강화 북쪽에서 한쪽 물길은 서해로, 또 하나는 갑곶의 앞 염하강을 지나 인천쪽으로 흐르는데 그 모양이 마치 제비꼬리와 같다하여 정자의 이름을 연미정이라고 하였다. 이 정자는 강화 8경의 하나로 손꼽히는 절경을 이루고 있어 북으로는 개풍군과 파주시, 동으로는 김포시 한눈에...

8. 적석사 낙조

깅화팔경중의 하나인 적석사 낙조봉에서 바라보는 서해 낙조이다. 적석사 낙조봉은 우리나라 3대 낙조 조망지로 서울 경북궁을 깃점으로 정 동쪽이 해돋이로 유명한 강원도의 정동진이며 반대로 정 서쪽이 해지미로 유명한 이곳 적석사 낙조봉이다. 낙조봉은 진달래 군락지로 유명한 고려산 남록 끝자락에 위치해 있고 적석사 주차장에서 약 10분...

꼬마물떼새 육추

5월1일 선원면의 논에서 꼬마물떼새의 사랑 나누는 은밀한 모습을 본의 아니게 보게 되었다.에구구.. 미안혀! 종달도요를 찾아 헤매다 매립한 논에 포란중인 꼬마물떼새 둥지를 발견 4개의 알이 있다. 그렇게 며칠에 한번씩 둘러봐도 포란중이다 때론 암, 수컷이 교대도 하고 27일 오후에 나가니 한차례씩...

팔색조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뜸부기

  천연기념물 뜸부기가 벌써 왔을덴데 하며 찾아 다녀도 보이던 않더니 혹시싶은 마음으로 지나가는데 논두렁에서 뜸 뜸 울어댄다. 뜸부기가.. 반가운녀석

칡때까치

2025. 5. 24 여름철새로 5월 중순에 찾아와  번식하며,  9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솔부엉이

2025. 5. 23 천연기념물 솔부엉이도 왔다. 여름철새로 4월 중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10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천연기념물이지만 비교적 흔히 볼수있다.  

제비딱새

2025. 5. 15 북산 흔한 나그네새인 제비딱새. 내가면에서 몇해전 보고 한동안 안 보였는데 오랜만에 북산에서 한쌍을 만났다. 크게 경계하지 않고 나뭇가지에서  한참을 보여주더니 큰부리까마귀가 나타나자 어디론가 날아가...

큰유리새

2025.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