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 C
Ganghwa-gun

강화 지명의 유래

교동면

신라 경덕왕때부터 교동현 즉, 큰오동나무 고을이라 칭하였으며 1934년 종래의 교동현의 이름을 따라 교동면으로 부르고 있다. 대룡리(大龍里) 옛날 이 마을에서 역마를 사육하여 대역촌(大驛村)이라 부르다가 뒤에 대아촌으로 개칭하였다. 교동의 중심이 되는 큰 마을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대룡리라 하였다. 대명(大明) : 매바지와 방골을 합쳐서 대명이라 부르고 있으며 대명은 하늘에 제사지내는...

삼산면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석모도(席毛島)에 있는 해명산(海明山), 상봉산(上峯山), 상주산(上主山) 등 세 개의 산이 있다고하여 삼산면이라 칭하였다. 석모리(席毛里) 물이 돌아 흐르는 곳에 돌이 많은 산변의 모퉁이란 뜻으로 석우도(石隅島), 돌모르라 하였는데 돌모르를 한자로 표기할 때 음만 같은 석모로도(席毛老島)라 칭한 듯하다. 개정동(蓋井洞) : 이촌말 서쪽에 있는 마을로 뚜껑이 있는 우물에서...

서도면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강화부의 여러 섬인 주문도(注文島)·아차도(阿此島)·볼음도(乶音島)·말도(唜島) 등 네 개의 섬을 묶어서 강화본도 서해상에 분포되어 있다고 하여 서도면이라 칭하였다. 주문도리(注文島里) 옛날에 나라의 사신이 배로 중국을 왕래할 때 이 섬에서 한양에 있는 국왕에게 중간보고의 글을 올렸다고 하여 물가를 뜻하는 삼 수변에 임금 주(主)자를 합한 주(注)자와 글월문(文)자를...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원앙

2025. 8. 1 원앙 한마리도 더위에 힘든가보다. 물속에서 신나게 목욕을 한다

우리집에 방울새가 왔어요

2025. 7. 31 해마다 해바라기 씨가 떨어져 나고 자라 또 씨가 영글어가자 방울새가 찾아왔다. 1마리가 혼자 오기도 하고  때론 3~5마리까지 날아와 먹이를 먹다 사람들이 지나가면 놀라...

배추흰나비의 사랑

2025. 07. 18

뜸부기

  천연기념물 뜸부기가 벌써 왔을덴데 하며 찾아 다녀도 보이던 않더니 혹시싶은 마음으로 지나가는데 논두렁에서 뜸 뜸 울어댄다. 뜸부기가.. 반가운녀석

칡때까치

2025. 5. 24 여름철새로 5월 중순에 찾아와  번식하며,  9월 중순까지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