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비지정 고인돌 군락지
관리자 -
Ο 하도리 아랫말 고인돌군
아랫발고인돌은 1916년 일본인 금서룡에 의해서 강화고인돌 중 최초로 조사보고 되었다. 강화소방서 119구조대 앞의 도로 건너편에 (사) 인천문화재보존사업단에 의하여 주차장과 진입로를 조성하고 공원화되었다. 북서쪽의 부근리 고인돌군과 평야를 사이에 두고 약 400여m 떨어져 있고, 강화도 대부분의 고인돌 입지와는 달리 평지에 위치한 것이 특색이다....
강화 비지정 고인돌 일람
관리자 -
Ο 현재 강화에는 160기의 고인돌이 고려산과 별립산 주변에 단독 또는 군락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중 70기는 2000년 12월 2일 고창,화순 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등록되지 못한 비지정 고인돌 190기가 군락 또는 단독으로 위차며 고인돌 명칭 앞의 번호는 고인돌의 관리번호이다. < 강화로닷컴...
세계유산 고인돌의 특징
관리자 -
첫째, 산을 중심으로 정상이나 그 경사면과 끝자락에 주로 분포한다는점이다. 고창은 성틀봉과 중봉, 화순은 조봉산과 만지산, 강화는 고려산을 중심으로 대부분 분포한다. 둘째, 서해안이나 서해안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 강이나 하천 등 물줄기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고창은 고창천과 인천강, 화순은 인근의 지석강, 강화는...
세계유산 강화고인돌의 지역분포
관리자 -
강화에는 160여 기의 고인돌이 고려산과 별립산 주변에 산재하고 있으며 이중 세계유산에 등재된 고인돌이 5개 군락 2개 단독고인돌 70기로 지역별 분포는 아래와 같다. Ο 강화 대산리고인돌(기념물 제31호) 강화읍 지역의 유일하게 하나뿐인 대산리 고인돌은 대산리 마을의 해발 약 20m 능선에 탁자식 고인돌로 3매의 받침돌이 있다. 비교적 양호한 덮개돌의...
세계유산 강화 고인돌
관리자 -
강화에는 대체로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편마암의 탁자식 고인돌이 많다. 2000년 12월 고창, 화순 고인돌 유적과 함께 강화의 고인돌 유적은 사적 제137호의 강화 부근리 지석묘를 비롯하여 70기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강화 고인돌은 하나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고인돌 군이 대부분이며 기타 고인돌은 1기 또는 2기로 형성되어 있고, 강화 고인돌은 이후 다시...
고인돌을 끌기위한 사람들
관리자 -
<진안 여의곡 고인돌 운반로 / 전북대학교 박물관>
Ο 선사인들의 고인돌 운반방법
대형 판석을 수 ㎞ 험한 길을 운반한다는 것은 지금의 육로사정이나 운반수단 등으로 보아 수십에서 수백 명 이상의 인력이 동원되었을 것이며 이들을 지휘 감독할 수 있는 지도력이나 통치력과 당시 강화도 고대사회의 사회적 구성과 농경생활을 중심으로 한...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제9대 강화군의회 당선인 한자리에 모여 성공의정 다짐
관리자 -
지난 23일 제9대 강화군의회를 이끌 군의원 당선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첫인사와 함께 지역 발전과 군민 행복을 위해 서로 소통하고 협치하며 성공적인 의정 활동을 펼치겠다는 다짐을...
유군수 민선 8기 공약 이행방안 마련, 군민들과 공유
관리자 -
유천호 강화군수가 민선8기 군민과의 약속 5대 공약을 실현하기 위한 8개 분야 116개 세부사업별 실행방안을 마련했다. 군은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군수실에서 부서별로 공약사항 사전검토 보고회를 개최하고...
강화~계양 고속도로’ 강화 구간부터 착공
관리자 -
강화군(군수 유천호)은 ‘강화~계양 고속도로’ 사업의 강화 구간 우선 착공을 목표로 배준영 국회의원과 긴밀하게 협력해,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등의 관계자로부터 강화 지역 교량부터 착공을 이끌어 냈다고...
6월 소창으로 소풍가자! 참여형 문화행사로 즐거움 선사
관리자 -
강화군(군수 유천호)은 지난 18일 소창체험관에서 군민 참여형 문화행사인 ‘6월, 소창으로 소풍가자!’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군은 이번 ‘6월, 소창으로 소풍가자!’ 행사로 방문객들에게 체험프로그램 운영을 널리 알리고, 참여형...
민․관 협력으로 깻끈풀 제거, ‘갯끈풀 없애고 생태계 살린다
관리자 -
강화군(군수 유천호)이 유해 해양생물 ‘갯끈풀’ 제거에 팔을 걷어 붙였다. 군은 해양수산부, 인천시, 해양환경공단과 공조체계를 구축해 갯끈풀의 침입 초기단계부터 지상부 줄기와 지하부 뿌리를 제거하고 갯벌을 뒤집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