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9 C
Ganghwa-gun
미분류 페이지 6

미분류

제178호 강화 전등사 대웅전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178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전등사 대웅전은 조선 후기의 목조건축물로 전등사의 중심 예배공간이다. 전등사는 고구려 381년(소수림왕 1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1605년(선조 38)과 1614년(광해군 6)에 큰 불이...

제179호 강화 전등사 약사전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179 소재지 : (23028)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전등사 약사전은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이다. 전등사는 고구려 381년(소수림왕 1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1605년(선조 38)과 1614년(광해군 6)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제393호 전등사 철종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393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이 종은 1097년(북송 소성 4)에 중국 회주(懷州) 수무현(修武縣) 백암산(百巖山) 숭명사(崇明寺)에서 주조된 철제 종이다. 종의 형태는 정상에 두 마리의 용을 갖추고 용 머리 주변에는 16개의 연꽃잎을 돌렸으며, 종의 몸체에는 위쪽에...

제994호 강화 백련사 철조 아미타여래좌상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994 소재지 : (23014)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고려산로61번길 270 (부근리) 이 불상은 고려 후기에 유행한 단아한 양식을 따르고 있는 철조불상이다. 갸름한 얼굴, 단정한 눈·코·입, 좁아진 어깨, 손발의 곡선 처리 등은 절제된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옷은 두껍고 주름은 단순한데 왼쪽 팔꿈치...

제1785호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보물 제1785호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이 목조삼불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전북, 충남 등지에서 활동하던 수연(守衍)이 수화승으로 참여하여 1623년에 조성한 불상이다. 삼불의 구성은 석가불을 본존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이 좌우에 협시하는 형식으로서 조선 후기에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삼세불의...

제1786호 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보물 제1786호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온수리,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은 조성원문을 통하여 1636년이라는 뚜렷한 조성년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이 조각승 수연(守衍)에 의해 조성된 지 13년이 지난 뒤에 역시 수연이 중심이 되어 제작한 상들이다. 지장보살상과...

솔부엉이

제1787호 강화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분류 : 문화재 문화재 구분 : 국가>보물 지정번호 : 보물 제1787호 소재지 : (23028)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188번길 112 (국화리, 청련사)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단정하고 우아한 상호, 단아하고 세련된 조형미, 완급 조절이 잘 표현된 옷주름 등에서 세련되고 품격 높은 고려시대 불교미술의 경향을 잘 드러내고 있다. 비록 조성기나 중수기...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나 찾아봐라~~

실금살금 나 찾아봐라~~ 장기 두마리, 까투리 한마리 숨박꼭질한다 머리카락 보일라 꼭꼭 숨어라~ 어디어디 숨었니? 꼭꼭 숨었니?

어쩌다 넌?

왜가리 한마리 먹이를 잡아 먹나보다 했다. 그래서 열심히 셔터 누르다 확인하니 웬걸 부리에 먹이가 있는게 아니라 뭔가 이상해 자세히 살펴보니 부리가 위로 아래로 벌어져있고 부리...

종달도요

국내에는 흔한 나그네새로  봄철 4~5월  물 고인 논이나 습지에서 관찰되며  작은 무리를 이루며        곤충의 유충, 갑갑류, 조개류등을...

양비둘기

  2024. 4. 30 국내에서는 적은 수가 남해 도서지방에서 서식하며, 극소수가 내륙 사찰(구례 천은사)등에서 서식하는 매우 드문 텃새라는 낭비둘기가 강화에서 관찰이 됐다는 소식은 들은지 얼마의 시간이 흘렀는데 오늘...

검은턱할미새

아종으로 분류되는 검은턱할미새 한마리 물가에서 먹이를 찾아 다닌다. 나그네새이며 드물게 월동을 하기도 한다고하며  봄과 가을에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