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C
Ganghwa-gun
미분류 페이지 8

미분류

곤줄박이

벌매

물레새

직박구리

학도요

황조롱이

때까치

강화의 집성촌

▣ 강화읍 남산리 부조마을의 함열 남궁씨    남궁씨는 단일본으로 18대손 대사성 침(沈)을 중시조로 삼고 있다. 침의 막내아들인 영(泳)은 16세 중엽 가선대부와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으나 벼슬을 버리고 강화로 낙향하게 된다. 정착한 곳이 ‘수록암(壽祿菴)’으로 기록되어 있다. 수록암은 남산리 남궁촌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남산리 중심가를 ‘남궁촌’으로 불렀으며, 이는 남궁씨가...

강화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

▣ 강화김씨 강화 김씨는 동계이면서 3파로 나뉘어져 있다고 한다. 신라 경순왕의 후예로, 1파는 경순왕의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의 7대손 김성(金晟)을 기세조로 한다. 그가 하음백(河陰伯)에 봉해져 후예들이 강화파라 하였다. 또 한 파는 김명종의 18대손 김광(金光)이 병조참판으로 있다가 연산군 때의 무오사화(戊午史禍)에 화를 입어 평남 숙천에 정착함으로써 1파가 되었으니...

선사시대 ~ 통일신라시대

▣ 선사시대    구석기시대 : 하점면 장정리에서 쌍날찍개 수습    신석기시대 : 화도면 여차리·사기리·동막리, 하점면 삼거리, 길상면 동검리, 양사면 인화리, 삼산면 석모리, 양도면 도장리·건평리, 내가면 오상리 등지에서 신석기시대 유물 수습.    청동기시대 : 하점면 부근리 등지에 고인돌 축조 및 청동기시대 유물 출토. ▣ 삼국시대    391년 7월 : 백제...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칡때까치

2025. 5. 24 여름철새로 5월 중순에 찾아와  번식하며,  9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솔부엉이

2025. 5. 23 천연기념물 솔부엉이도 왔다. 여름철새로 4월 중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10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천연기념물이지만 비교적 흔히 볼수있다.  

제비딱새

2025. 5. 15 북산 흔한 나그네새인 제비딱새. 내가면에서 몇해전 보고 한동안 안 보였는데 오랜만에 북산에서 한쌍을 만났다. 크게 경계하지 않고 나뭇가지에서  한참을 보여주더니 큰부리까마귀가 나타나자 어디론가 날아가...

큰유리새

2025. 5. 13

노랑할미새

2025. 4. 30 노랑할미새 부부가 둥지를 준비하는듯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