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4 C
Ganghwa-gun
문화유산 페이지 6

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10개)

Ο 김취려 묘 지정 : 문화유산자료 소재지 : 강화군 양도면 하일리 산71 고려 후기의 장군 김취려의 묘이다. 그는 고려 후기 예부시랑을 지낸 김부(金富)의 아들로 본관은 언양이며, 음서(蔭敍)를 통해서 정위(正尉)에 임명되었다. 그후 1219년에는 몽골군과 동진국과 힘을 합쳐 강동성에 웅거한 거란군을 격퇴하는 전과를 올렸으며, 1232년에는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

민속문화유산 (2개)

Ο 보문사 맷돌 지정 : 민속자료 소재지 :  강화군 삼산면 삼산남로828번길 44 보문사 석실 앞에서 삼성각으로 오르는 계단 옆 화단에 있는 맷돌이다. 맷돌은 곡물을 가는데 쓰이는 용구로 위·아래 두 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문사 맷돌은 보문사 승려와 신도들이 취사용으로 사용하던 것으로서 지름 69cm, 두께 20cm로 일반용보다...

국가 등록문화유산 (1개)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 지정 : 등록문화재 소재지 : 강화군 강화읍 관청길27번길 10 제대 : 높이 126* 너비 290* 깊이 200cm(기단부 포함) 세례대 : 높이 100* 너비 80 * 깊이 79cm 재질 : 화강암, 나무(세례대 뚜껑) 제작년대 : 1900년 소유자 : (재)대한성공회 유지재단 사적 「대항성공회 강화성당」 안에 있는 핵심적인 의례물로...

천연기념물 (5개)

Ο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지정 : 천연기념물 소재지 :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1015  강화 전쟁박물관 내 탱자나무는 주로 영·호남지방에 분포한다.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열매와 껍질은 약재로 사용되며 줄기에 가시가 나 있어 울타리용으로 적합하다. 민가에서는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는 벽사의 의미를 담아 탱자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갑곶돈대...

54개 강화의 돈대(갑곶돈대 부터)

Ο 갑곶돈대 사적 제306호 소재지: (23025)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룡길 26 (갑곳리 돈대는 해안가나 접경 지역에 돌이나 흙으로 쌓은 소규모 관측·방어시설이다. 병사들이 돈대 안에서 경계근무를 서며 외적의 척후 활동을 비롯한 각종 수상한 정황을 살피고 대처한다. 적이 침략할 때는 돈대 안에 비치된 무기로 방어전을 펼친다. 조선시대 강화도...

이경수 선생의 돈대이야기

강화에 돈대는 도대체 몇 개? 이경수(《강화도史》 저자) 강화에는 보물과도 같은 문화재가 즐비합니다. 저는 그 가운데 돈대에 주목합니다. 사실상 전국에서 강화에만 있습니다. 많아서 더 소중합니다. 하나보다 무리 지어 핀 코스모스가 더 예쁘고 하나보다 함께 어우러져 빛나는 별들이 더 설레는 법입니다. 동서남북 어느 해안에서든 만날 수 있는 돈대는...

반 년에 걸쳐 축조한 강화의 54돈대

국가가 계속된 전쟁과 기근으로 어려운데도 강화에 돈대墩臺를 축조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정정의 불안은 곧 조선의 존망과 관련된 문제라고 인식한 숙종은 1678년숙종 4 10월에 병조판서 김석주金錫冑(1634~1684)를 강화도로 보내 진·보를 설치할 곳을 살펴보도록 했다. 이에 김석주가 순찰하고 돌아와서 49개소의 돈대가 적절하니 조속히 축조할 것을...

사적(17개)

Ο 강화 삼랑성 지정 : 사적 소재지 :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번지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았다고 해서 삼랑성(三郞城)이라고 부른다. 마니산 참성단과 더불어 단군과 연관된 이야기가 기록으로 전해지는 귀한 역사 유적이다. 『고려사』와 『세종실록지리지』에 단군의 세 아들이 삼랑성을 쌓은 것으로 전해진다는 기록이 있다.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하는데 성의 둘레는...

보물(12개)

Ο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지정 : 보물 소재지 :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산 193번지 고려시대에 세워진 5층 석탑으로 발견 당시 무너져 있었으나 1960년 수리하여 다시 세운 것이다. 석탑은 파손된 곳도 많고, 없어진 부재도 많아서 3층 이상의 몸돌과 5층의 지붕돌, 머리장식 부분 등이 모두 사라진 상태이다. 낮은 언덕의...

강화 비지정 고인돌 군락지

Ο 하도리 아랫말 고인돌군 아랫발고인돌은 1916년 일본인 금서룡에 의해서 강화고인돌 중 최초로 조사보고 되었다. 강화소방서 119구조대 앞의 도로 건너편에 (사) 인천문화재보존사업단에 의하여 주차장과 진입로를 조성하고 공원화되었다. 북서쪽의 부근리 고인돌군과 평야를 사이에 두고 약 400여m 떨어져 있고, 강화도 대부분의 고인돌 입지와는 달리 평지에 위치한 것이 특색이다....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작은주홍부전나비

제비

제비무리중 한마리가 부분 루시즘에 걸린것으로 보인다. 루시즘은 동물의 눈을 제외한 피부나 털, 깃털, 비늘,  큐티클층이 부분적인 색소 소실로 인해 희거나 밝게, 혹은 얼룩덜룩하게 보이는...

선원면 새마을부녀회, 행복 나눔 행사 펼쳐

강화군 선원면 새마을부녀회(회장 유갑희)는 지난 27일, 행복나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취약계층의 식생활 지원과 건강한 먹거리 나눔을 위해 마련됐으며, 회원들은 정성껏 준비한 달걀 100판을...

역사와 빛이 어우러진 ‘강화별밤야행(夜行)’ 오는 9월 5~6일 개최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오는 9월 5일(금)부터 6일(토)까지 이틀간 강화읍 용흥궁공원과 원도심 일원에서 ‘2025 강화별밤야행(夜行)’을 개최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한 이번 축제는 강화의 역사문화 자원을 무대로, ‘6夜(야설·야사·야로·야경·야식·야시)’의 테마...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 완화로 소상공인 지원책 강화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상권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 요건을 완화하고, 희망 상인회를 대상으로 오는 9월 10일까지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