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에 남아있는 당집
관리자 -
Ο 강화의 남아있는 당집
무속은 우리의 역사 속에서 생활을 지배해 왔고, 또 현대인의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특히 무속은 민간 층의 종교의식이 집약된 것으로 한민족의 정신 속에 깊게 자리해 왔다. 특히 강화는 도서 지역으로서 풍부한 어장과 비옥한 농토를 지니면서 농업과 어업을 주업으로 삼고 있다. 풍농과 풍어를...
남한에 남아있는 고려왕릉
관리자 -
Ο 강화 홍릉 지정번호 : 사적 제224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산 180번지 고려 23대 고종(高宗, 1192~1259)의 무덤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고종이 1259년(고종 46) 6월 임인일에 재상 유경(柳璥)의 집에서 승하하자, 그 해 9월 기미일에 홍릉에 장례 지냈다.’고 하였다.
원래의 홍릉은 높게 쌓은 3단의 축대로 이루어져 제일 아래에...
총(塚)과 고분(古墳)
관리자 -
왕가의 무덤 능(陵), 묘(墓), 총(塚), 고분(古墳)의 분류
능 : 능묘의 준말로 왕이나 왕비의 무덤, 사후에 왕으로 추증되면 원(園)에서 능으로 승격
묘 : 그 외에 빈, 왕자, 옹주, 공주, 후궁, 귀인 들뿐 아니라 일반인의 무덤
총 : 무덤의 주인은 알 수 없으나 다른 무덤과 특별하게 구분될 수 있는...
강화의 옛 관아 터(址)
관리자 -
Ο 고려 이궁지 지정번호 : 향토유적 제 13호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 404-1
기타 : 사유지로 접근이 어렵고 관리도 할 수 없다 이 궁지는 옛 고려시대 사찰인 흥왕사 인근에 자리잡고 있다. 고려 고종 46년(1259) 풍수 도참가 백승현의 진언에 의하여 건립 되었다고 전한다. 이 궁은 왕이...
고려와 조선시대 궁궐
관리자 -
Ο 고려궁지
고려가 1232년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강화로 수도를 옮고 각도의 민정을 징발하여 관아와 궁궐을 완성했다. 이 궁지는 그후 39년 동안 고려의 수도와 궁궐의 역할을 했다. 더욱이 1251년에는 국자감이 설치되었고, 1255년에는 태묘가 세워져, 그 규모에 있어서는 개경에는 미치지 못하였지만 점차 수도다운 위엄과 시설이 갖춰지게...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서도면, 주민설명회 및 주요 현안 현장 점검
관리자 -
강화군 서도면(면장 이정실)은 지난 21일 이장단(단장 백승훈) 및 단체장을 대상으로 서도면 주요사업에 대한 주민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설명회는 볼음도에서 개최되었으며, 면장이 직접 마을을 방문해 총...
강화군, 도시재생사업 강화읍 중심에서 벗어나 온수리, 북성리 등으로 확대
관리자 -
7년 전 강화읍 길거리와 지금의 길거리를 비교해 보면 정말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좁은 골목과, 주차난 등 열악한 기반 시설로 죽어가던 지역...
강화기독교 역사기념관 개관1주년』 기념행사 가져
관리자 -
강화군(군수 유천호)은 21일 강화 기독교 역사기념관 개관 1주년 기념행사를 기독교 역사기념관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배준영 국회의원, 박승한 군의회 의장 및 대한성공회 김성수 대주교, 성공회대 김경문...
강화군의회, 제285회 임시회 개회
관리자 -
강화군 의회(의장 박승한)는 20일 제285회 임시회를 개회하고 오는 31일까지 12일간의 의정 활동에 돌입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2023년도 제1회 추가 경정 예산안」과 「2023년도 행정사무감사 계획서 승인의 건」...